우리나라는 대·중소기업 통틀어 절반 이상의 기업이 수도권에 쏠려 있다. 국내 상장기업 본사의 73%와 첨단제조업, 지식서비스업종 종사자의 60∼70%가 수도권에 있고, 그 비중이 갈수록 커진다.

지방소멸과 저출산 문제의 근원적 원인은 기업의 수도권 쏠림과 같은 중앙집권적 구조에 있다. 권한과 권력을 지역으로 분산하지 않으면 중앙집권적 구조 탈피는 힘들다. 수도권에 있어야 기업에 유리한 정보나 세제, 인재확보 등을 할 수 있고 심지어 권력과 밀착도 쉬워 기업들은 수도권을 떠나려 하지 않는다.

수도권으로 기업과 사람이 몰리면서 수도권은 과잉, 비수도권은 결핍이라는 악순환이 되풀이 된다. 정부가 어떤 정책을 써도 기업이 수도권에 있으면 지방소멸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정부가 공공기관 100여 개를 지방혁신도시로 이전시켰으나 그들은 몸만 가 있지 사람은 서울 등 수도권에 그대로 머물고 있다. 지방 이전의 효과도 당연히 별로다. 세계적 이차전지 소재 기업으로 떠오른 에코프로는 상장기업 30위 내 기업 가운데 지역인재 비율이 90%에 이르는 유일한 기업이다. 전체 임직원 3천여명 가운데 90%가 비수도권에 주소를 두고 있는 지역인재 중시형 기업이다.

2020년부터 포항에 투자를 시작한 에코프로는 올해 1조2천억원을 포함, 포항에 5조5천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철강중심 도시에서 에코프로의 투자로 포항은 이제 철강과 이차전지산업이 양립하는 산업구조로 바뀌었다.

에코프로의 통 큰 투자로 산업인력이 늘어 에코프로 포항 1·2·3 캠퍼스에만 2천200명의 종업원이 있다. 4캠퍼스가 완공되는 내년에는 3천명 가까운 인력이 포항에서 근무한다고 하니 지방소멸을 극복하는 데는 기업만한 것이 없다. 에코프로가 이를 입증한다.

양질의 일자리가 생기면 사람이 찾아오기 마련이다. 에코프로처럼 지방에도 기업이 과감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지방소멸 문제는 기업의 비수도권 투자에서 해법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에코프로가 모범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