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규 경북대 명예교수 전 국립국어원장
이상규 경북대 명예교수 전 국립국어원장

시도 재밌어야 한다. 메시지 전달을 너무 강하게 의식하면 시는 관념화하거나 교훈적이거나 독자를 계도하고 가르치려는 부담을 주게 된다. 시가 교훈적이거나 이념을 강요하는 시를 오탁번 시인은 시적 문맹이라며 시답잖다고 판단한다. 한때 시에다가 무슨 사상이나 이념이나 철학을 담아내어 제법 그럴듯하게 꾸며 독자를 현혹시켜는 사이비 위장전입한 시들을 흔히 볼 수 있었다. 안도현 시인의 “연탄재 발로 차지마라”는 메시지는 가난하고 짓밟혀 사는 사람들을 발로 차지 말라는 엄청난 감동을 일으켰다. 그런데 과연 시인 자신은 연탄재를 발로 차며 사는 변두리 사람이었을까? 타자와의 일체성을 잃어버린 위장자의 입장에서 서민을 교화하려는 허위성을 안고 있는 언어는 아닐까? 오히려 곡진한 고어나 변두리 사람들의 말 속에서 건져올린 말도 안 되는 우스개 수준의 시가 시적 허위의 엄숙성을 내치는 좋은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요 엄창 큰 비바리야’(2007)에 실린 권기호 시인의 시‘아이고 문디야’는 ‘보리문디’ 경상도 사람들이 즐겨 사용하는 관용어 “아이고 문디야”가 시어로 화려하게 변신하여 재미있게 읽히는 시다.

“태백산 돌기로 내려온 지판은 오래전 문경암층 방향 틀어/ 바람소리 물소리 이곳 음질 되어 영일만 자락까지 퍼져있었다.// 어메요 주께지 마소 나는 가니더 미친년 주것다 카고 이자뿌소/ 부푼 배를 안고 부풀게 한 사내 따라/ 철없는 딸은 손사래치며 떠나는데// 아이고 저 문디 우째 살라 카노 아이고 저 문디 우째 살키고/ 인연의 삼베끈 황토길 놓으며 어메는 목젖 세하게 타고 있었다.// 호박꽃 벌들 유난스런 유월 느닷없이 남의살 제 몸에 들어와/ 노을빛 먹구름 아득히 헤맨 딸에게 어메는 연신 눈물 훔치며/ 맨살 드러낸 산허리 흙더미 내리듯이 마른 갈대소리 갈대가 받듯이/ 토담에 바랜 정 골짜기에 쌓을 수밖에 없는데// 세월 흘러도 신생대 암층 고생대 지층이 받쳐왔듯이/ 풍화된 마음 먼 훗날 만나게 되면// 아이고 이 문디 우째 안죽고 살았노 아이고 어메요/ 우리 어메요/ 맨살 부비는 산허리 소리 반갑게 울부짖는 것이다.”

이 시는 경상도에서도 아주 무지한 사람들의 살아있는 곡진한 목소리를 시어로 불러내었다. 태백산 줄기를 타고 문경에서 영일만까지 경상도의 음질이 된 사투리의 생생한 현장성을 보여주고 들려준다. 철없는 딸년이 아이를 배어 집을 떠나는 서사적 사연을 엮어낸 시적 대사는 농경시대 어두운 시절의 그림처럼 혹은 한 편의 연극처럼 슬프긴 하지만 내쳐버리지 못할 질긴 운명의 서사로 우리들에게 다가온다. 보리밭처럼 밟혀 사는 무지랭이들의 육성이 마치 귀에 들리는 듯하다. 바람이 나서 부모 몰래 아이를 밴 딸년은 어메에게 “나는 가니더 미친년 주것다 카고 이자뿌소”라고 내뱉는다. 그에 화답하는 어메는 “아이고 저 문디 우째 살라 카노, 아이고 저 문디 우째 살키고”라며 모녀간의 이별을 통곡한다. 안 죽고 살아서 다시 만나는 모녀의 관계는 마치 태백산맥의 지층이 영남의 역사와 공간을 유지해온 것과 묘하게 대비를 이루고 있다.

알몸으로 살아온 사람들, 농경제 공동사회에서 ‘문디’는 보리밭에서 아이들 간을 빼내먹고 산다는 나환자를 이르는 말이지만 경상도 방언에서는 ‘문디’는 항상 ‘아이고’라는 감탄사와 함께 호응을 이루어 원통하거나 한스러울 때 상대를 호명하는 경상도 사람들의 심성을 담고 있는 울림의 관용구다. “연탄재 발로 차지 말라”며 독자들에게 단호하게 명령하는 시인의 눈높이가 아니라 가난하고 무지한 농촌의 어메와 원초적 본능에 충실한 딸년의 눈높이로 자세를 낮춰야 들리는 세상의 소리다.

시인은 놀라운 통찰력으로 영남 방언의 음운변화와 아래아의 역사적 변천의 잔존형까지 시어로 녹여내었다. “맨살 부비는 산허리 소리 반갑게 울부짖는 것이다.”라며 무지한 딸년이 남자를 만나는 광경을 산허리의 바람 부는 소리로 전환해내는 시어의 놀라운 위력을 일깨워 주기도 한다. 시인 권기호가 들려주는 투박한 경상도 소리가 과거의 시공간을 다시 우리 곁으로 불러온다. 딸년의 무지하고 원초적인 성은 도덕을 뛰어 넘어 어둠조차 견뎌내게 만드는 축제적인 제례임을 말하고 있다. 여기에 무슨 혼탁한 윤리나 도덕이 개입할 여지가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