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수련병원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이 일주일째 이어지면서 의료 공백 사태가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병원을 떠난 전공의 빈자리를 전임의와 교수 등이 채우고 있지만, 일부 병원에선 전임의들마저 이탈할 기류를 보이고 있다. 특히 대학병원 교수들 사이에서 교수와 병원 소속 의사를 함께하는 겸직을 해제하려는 움직임까지 보인다니 걱정이다. 현재 전국 수련병원들은 수술과 진료 일정을 절반까지 줄이고, 전임의와 교수 등 병원에 남아있는 의사 인력을 최대한 활용해 전공의 집단 사직에 대처하고 있다. 대구지역은 수련병원 전공의 90%가 사직서를 냈다. 수련병원에서는 전공의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업무 복귀를 요청하고 있지만, 대부분 병원으로 돌아오지 않고 있다. 수련병원에서는 지금 응급이나 중증 질환이 아닌 수술은 대부분 연기하고 있다. 환자들은 아예 수련병원 진료를 포기하고 준 종합병원으로 향하고 있다.

정부는 강경태도를 굽히지 않고 있다. “증원규모 2천 명은 계속 필요한 인원”이라며 3월 4일이라는 시한까지 정해 각 대학으로부터 의대 정원 신청을 받고 있다. 2천 명 증원의 근거는 정부가 지난해 조사 때 각 대학이 제출한 증원 희망 숫자다. 전공의들은 “2천 명 증원 강행 시 끝까지 저항하겠다”라는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다행인 것은 의과대학 교수협의회가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라고 나선 점이다. 전공의들의 스승인 교수들이 협상창구 역할을 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하지만, 정부와 의료계 간 입장 차가 큰데다 교수협의회 입장이 ‘증원 규모 재검토’여서 중재가 원만하게 성사될 것 같지는 않다.

정부와 전공의들은 의대교수협의회가 중재하겠다고 나섰을 때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 지금과 같은 강경입장을 고수하다 국가의료체계가 붕괴할 경우 그 책임은 어떻게 질 것인가. 양측 모두 현재 국가가 위기 상황임을 인식하고 의료 대란이 더 이상 확대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정부는 특히 ‘2천 명 증원’이라는 숫자에 너무 집착해선 안 된다. 그러니까 사태가 계속 악화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