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종 경북대 교수
김규종 경북대 교수

살아있는 사람들에게 울림을 주는 대표적인 묘비명 주인공은 필시 니코스 카잔차키스일 것이다. “나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렵지 않다. 나는 자유다.” 그의 고향 크레타섬에 시멘트 묘지와 나무 십자가로 수수하게 꾸민 무덤의 묘비명은 그야말로 비상하기 짝이 없다. 자유를 향한 그의 등정에 걸림돌은 바람과 공포였다.

죽기 직전까지도 우리는 무엇인가를 바라고, 무엇인가를 두려워한다. 무병장수를 기원하고, 죽음을 두려워하는지도 모른다. 사람마다 두려워하고 바라는 대상은 천차만별이겠으되, 카잔차키스는 그 둘을 훌훌 뛰어넘는다. 사랑도 돈도 명예도 바라지 않고, 노년과 죽음의 두려움에서도 벗어난 것이다. 그래서 그는 목청껏 외칠 수 있었다. “나는 자유다!”

얼마 전 우연히 맞닥뜨린 방송에서 한국 사회를 추동하는 두 가지 심리적 기제가 공포와 분노라는 말을 듣고 전율했다. 사태의 핵심을 찌르는 통찰과 절제된 단어가 전하는 진실의 뼈저린 아픔이 온몸을 관통해버린 까닭이다. 한국인과 한국 사회가 일상적으로 대면하는 두 가지 감정이 두려움과 분노라는 기막힌 현실을 어떻게 수용해야 할 것인가?!

요즘 의대생 증원 문제를 두고 논쟁이 한창이다. 이 문제를 관통하는 핵심어 또한 공포와 분노다. 상당수 의대생과 전공의 그리고 개원의들은 우리나라 의사들의 숫자가 모자라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정부가 의대생 정원을 늘리면, 의료수준이 떨어질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 자리하는 것은 의사의 특권 상실 가능성에서 오는 뜨거운 분노다.

현대사회에서 의사는 최고의 전문직 가운데 하나로 상층권위와 높은 수임료로 타자(他者)를 압도한다. 그들이 상층권위를 누릴 정도로 실력이 있는지, 도덕적으로 대단한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수많은 명문대생이 재수-반수를 해가며 의대로 돌진하는 까닭을 생각해보시라. 특권과 부의 독점적 지위가 흔들릴지 모른다는 위기의식이 그들을 분노로 결집한다.

반면에 다수 국민은 의대생 증원을 반긴다. 늘어가는 노령인구와 저출산 문제가 한국 사회의 걸림돌로 작용한 지 오래다. 소득수준이 오른 만큼 그에 합당한 의료지원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하지만 몇몇 대도시를 제외하면 성에 차지 않는다. 의대생 숫자를 늘려 소외지역에서도 마음 놓고 병원에 가고 싶은 것이다. 국민 다수는 현재 상황이 두려운 것이다.

경남 어느 지역에서 고액 연봉을 제시했음에도 의료 인력 충원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보도를 보면서 우리 사회의 ‘은산철벽(銀山鐵壁)’을 실감한다. 서울과 경기도가 독점하는 중앙의식, 대도시가 석권하는 도회지 중심주의가 한국 사회를 절망의 나락으로 내몰고 있다. 넓지 않은 나라를 다시 세분하여 떼지어 몰려 살아야 직성이 풀리는 모양이다.

공포와 분노가 만나면 어떻게 되겠는가?! 마주 보며 질주하는 두 대의 거대 기관차의 충돌은 영화에서는 멋지게 보일지 모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국민 건강증진과 건전한 의료체계 정립을 위해 공포와 분노가 적정 시점에 슬기로운 결론에 도달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