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산골 어디메쯤 매화향기 날리는 마을을 지나 봄맞이 산행에 나섰다. 구불구불한 길을 한참 올라가서 고지대에 자리잡은 묘각사(妙覺寺)에서부터 본격적인 등산이 시작됐다. 1400여년 전 신라 선덕여왕 때 의상대사와 동해 용왕의 설화가 서린 묘각사는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안치된 곳으로, 의상은 묘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여 절 이름을 묘각사라 하였다 한다. 그러고 보니 산 아래는 용화동·삼매동·정각동 등 불국정토를 나타내는 마을 이름이 많아선지 산골 전체를 절골이라 부르기도 한다.

영천시 자양면과 화북면 경계에 있는 기룡산 중턱의 묘각사를 창건할 당시 의상에게 법문을 듣기 위해 동해의 용왕이 말처럼 달려왔다고 해서 기룡산(騎龍山)이라 했다던가? 갑진년 청룡의 해를 맞아 일행은 차를 타고 달려와 용의 잔등을 타듯이 서서히 산을 올랐다.

초입부터 약간 가파른 길이라 완급을 조절하며 숨 고르기 하듯 쉬엄쉬엄 올라 이내 능선에 당도했다. 한겨울을 지낸 산인가 싶을 정도로 능선엔 발목 높이 이상으로 낙엽이 수북했고, 간간이 주변에 설해목이나 고사목이 나타나 범상찮은 산세임을 보여주는 듯했다.

북향의 능선으로 좀 더 오르니 등산로는 동쪽으로 꺾어지면서 주변의 탁 트인 조망이 들어왔다. 봄이 성큼 다가온 듯한 쾌청한 날씨에 비교적 순탄한 능선을 걸으며 좌우로 펼쳐진 전경을 눈에 담는다는 것은, 가슴 속까지 시원해지는 호사가 아닐 수 없었다. 서북쪽으로는 보현산 천문대가 손에 잡힐 듯 가까이 있고 그 옆으로는 포항시에서 가장 높은 면봉산이 우뚝 솟아 있으며, 베틀봉, 수석봉 등이 연이어져 있었다. 또한 남서쪽으로는 대구 팔공산까지 선명하게 보이는가 하면, 멀리 영남알프스가 희뿌연 운해 위의 섬처럼 코발트빛 실루엣으로 겹겹이 드리워진 장관을 연출했다.

그 뿐만이 아니었다. 능선 북쪽의 응달진 곳의 잔설을 밟으며 올겨울 처음으로 눈구경도 하고, 이끼 위의 잔설이 녹아내려 수정 같은 고드름이 밤낮으로 자라 빙벽으로 이어지는 그림같은 능선길에서 산객의 발걸음은 한참동안 멈출 수밖에 없었다. 또한 요즘 보기 드물게 파릇한 이끼를 덮은 얼음과 끝자락에서 마치 용의 뒷덜미 마냥 날카롭게 돋아난 고드름을 대하니 불현듯 스쳐가는 시상이 떠오르기도 했으니….

“말처럼 달려온 용왕/의상의 묘한 법문에//홀연 깨달음 얻어/승천하여 살피더니//온 들녘 메마른 염원/단비 뿌려 적셨다네//잔설이 머물러서/외려 파릇한 이끼//거울 같은 고드름/용왕의 숨결 마냥//기룡산 마루터기에/감로수로 어리네” -拙시조 ‘기룡산 이끼 고드름’ 전문

이윽고 다다른 정상에는 온 사방 능선과 연봉들이 기룡산을 위시하여 앞서거니 뒤서거니 올망졸망 울퉁불퉁 용의 등같이 꿈틀대는 것 같았다. 그렇게 일망무제로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원근감의 수묵화에 젖어 들어 쾌재를 부르고 찬탄하다 보니, 어느새 용의 기운(?)이 몸 속으로 스며드는 듯한 모종의 희열감이랄까? 쾌청한 날 봄맞이 산행으로 올해 다짐한 ‘매월 1산행’의 약속이 지켜져서 다행스럽고, 설렘과 호기(豪氣)로 이어질 다음 산행이 은근히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