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규 경북대 명예교수 전 국립국어원장
이상규 경북대 명예교수 전 국립국어원장

대구 경북 방언으로 방언시를 즐겨 짓고, 경상도 방언시집을 많이 출간한 상희구 시인의 시 중에 ‘돔배기’라는 시가 있다.

“지삿날 큰집 백모님이/음복식을 나누어 주실 때/돔배기는 항상/제기 맨 우에 얹혀있었다./당당하게, 돔배기는 모든 지사 음식을 앞으로 끌어간다./지가 지일로 앞장서고/콩나물 고사리나물 무시나물…./소고기 산적도 끌어가고/민어 산적도 끌어가고…./이렇게 돔배기는/모든 지사 음식을 다 끌어간다/”

경상도 제사상에서 으뜸인 제수가 돔배기임을 알 수 있는 시이다.

돔배기는 무엇인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돔배기를 찾으면, 도마의 방언, 도막의 방언, 돔발상어의 방언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모두 잘못된 풀이다. 오픈사전에서야 “제사상에 올리는 상어고기”라고 정의를 내리고 있는데 가장 근사한 정의다. 더 정확하게 정의하자면 “주로 경상도에서 제사상에 올리기 위해 상어를 네모나게 토막낸 것”이어야 한다.

그런데 경상도라도 모든 지역에서 돔배기를 제사음식으로 올려 쓰지는 않는다.

우리말의 물음법은 여러가지 유형이 있다. 대표적으로 wh-의문사가 들어가는 의문과 의향을 묻는 yes no-의문법으로 크게 구분한다. 경상북도 방언은 의문사 의문법의 어미에 따라 크게 3그룹으로 구획된다. 대구, 경주, 포항지역은 “-는교”형, 안동, 영주, 의성 지역은 “-니껴”형, 김천, 구미, 선산 일부 지역은 “-여”형으로 나뉜다. 이들 지역의 방언 차이는 아마도 큰 산맥이나 강 등의 지형으로 구획되는 것 같은데 오랜 역사와 문화의 차이와 구분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제의의 절차나 형식, 제수음식 차이점을 보인다.“-니껴”형의 안동권역에서는 제수로 반드시 문어를 사용한다. 이 지역에서는 문어 없는 제사는 제사가 아니다. 문어(文魚)가 글을 숭상하는 안동의 문화와 관련있고, 문어의 먹물이 문방사우 중 먹을 상징한다는 것은 제의관습 이후의 해석일 것이다. 그런데 고대국가 신라권역이었던 “-는교”형의 대구, 영천, 경주, 포항지역에는 돔배기를 반드시 제수로 올린다. 돔배기 없이는 제사를 지내지 못한다고 할만큼 제수 가운데 최상으로 손꼽는다. 돔배기를 길게 네모나게 잘라 꼬치로 꿰어 구운 돔배기 산적이 있고, 상어껍질이나 연한 뼈와 함께 무를 토막내어 푹 끓인 어탕국도 빠지지 않는다.

경산 진량 고분이나 대구 불로동 고분에서 상어의 등뼈가 발굴된 것으로 보아 “-는교”형 지역에서 돔배기가 제수나 음식으로 사용된 역사가 무척 오래임을 짐작할 수있다. 동해안을 타고 신라로 내려온 예족계열의 문화적 연계성은 아닐까 조심스러운 추정을 해본다.

같은 경상도 안에서도 돔배기가 “-는교”형 지역에서만 사용하고 “-니껴”형 지역인 안동권으로 넘어가지 못했다는 것은 매우 재미있는 문화 현상이요, 연구해 볼 만한 문화유산인 셈이다.

한국의 근현대시 100년, 그리고 한국현대시단을 대표해온 한국시인협회 50주년을 맞아 우리가 살고 있는 국토를 노래한 시들을 모아 엮은 작품집이 있다. ‘노래하자 아름다운 우리 국토를 : 국토사랑시집’(한국시인협회, 천년의 시작, 2007)에 필자는 ‘돔배기’라는 시를 발표한 적이 있다. 경상도 “-는교”형 지역에 살지 않아 돔배기를 먹어보지 못한 분들은 이 시를 통해 돔배기의 맛을 경험해 봐도 좋을 듯하다. 푹 삭힌 상어고기를 네모나게 토막(돔박)을 낸 돔배기의 싸한 맛과 코를 찌르는 듯한 냄새의 맛을…. 어쩌면 이 맛은 잘 삭아서 익은 전라도 홍어의 깊은 맛과 비슷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요즘은 냄새나고 알싸한 맛의 삭힌 돔배기를 잘 먹지 않는다.

설날, 제사상에 오른 귀한 음식 돔배기를 소재로 한 시작품을 통해 오랜 역사의 틈새에 비친 우리 제사 문화의 잔영을 찾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