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 높은 업무·경직된 조직문화
박봉까지… 다양한 이유로 이탈
공직사회 대책 마련에 ‘안간힘’
전문가 “점진·지속적 개선 필요”

2년전 경북지역 초등교사로 임용된 A씨(28)는 지난해 사직서를 내고 학교를 떠났다.

급여가 생각보다 적은데다 담임은 물론 학교업무도 기존 교사들이 기피하는 업무가 신규 교사들에게 주어지는 등 학교 조직문화도 받아들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A씨와 같은 해 졸업한 동기 B씨도 학교를 그만뒀다. 두 사람은 세무사 등 다른 분야 진출을 준비중이다.

이처럼 공직사회에서는 A씨와 같은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로 일컬어지는 젊은 세대들의 ‘줄퇴사’가 교육계뿐만 아니라 전국 지자체에서 해마다 급증하면서 공직사회에서는 퇴직을 막기위한 대책들도 쏟아지고 있다.

공무원연금공단 통계에 따르면 재직년수 3년 이하 공무원 퇴직자는 2018년 5천166명에서 2019년 6천147명, 2020년 8천442명, 2021년 9천881명까지 늘더니 2022년에는 1만2천76명을 기록했다.

이 중 1년 미만 초임 공무원의 퇴직은 2018년 951명에서 2019년 1천769명, 2020년 1천610명, 2021년 2천723명, 2022년 3천123명으로 급증했다.

이들이 공직을 떠나는 이유는 모두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하다.

잦은 야근 대비 낮은 급여에서 오는 보상 욕구 불충족부터 폭우나 폭설 등 자연재해 시 발생하는 비상근무와 주말 행사 동원으로 오는 피로감과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일과 생활의 균형) 없는 삶. 여기에 악성 민원인을 상대하는 과정에서 겪는 자존감 하락과 이유도 모른 채 시키면 당연히 해야 하는 조직문화까지.

교직의 경우 초임 교사나 젊은 교사들은 담임이나 업무 배정때 기존 교사들이 기피하는 학년이나 업무를 배정 하는 업무처리에 불만이 크다.

아직 교단에서 관리자들의 권위적 태도가 여전한 것도 고쳐야할 점이다. 일부 초등학교에선 젊은 교사들의 출장비마저 지급하지 않아 원성을 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사정이 이렇자 공직사회에서는 이들을 붙잡기 위한 조직 문화 개선에 적극 나서고 있다.

낮은 급여에 높은 업무 강도, 경직된 조직문화도 퇴사의 원인중 하나라고 보고 다양한 개선 방안을 내놓고 있다.

대구시는 올해부터 인사철 떡 돌리기 자제, 연가 사용 눈치 주기 자제, 계획에 없는 회식 자제, 비상 연락망 전 직원 공지 자제 등 4대 근무 혁신 방침을 시행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대규모 조직을 일순간에 전면적으로 개혁할 수 없는만큼 점진적이면서도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보수와 공무원연금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조기 퇴직하는 것을 막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라는 의견도 있다. /피현진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