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직장인의 평균 연봉(3천580만원)이 전국 광역시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평균연봉이 최고 높은 지역은 서울(4천683만원)이 아닌 울산으로 4천736만원이었다. 17개 시·도 중 대구보다 평균연봉이 낮은 지역은 제주(3천570만원)와 강원(3천577만원)뿐이었다. 경북은 4천50만원으로 대구보다 530만원 많았다.

민주당 양경숙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2022년 시도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에 따르면, 근로자의 평균 연봉수준은 울산, 서울에 이어 공무원이 많이 거주하는 세종(4천492만원)과 경기(4천281만원) 등이 상위에 랭크됐다. 비수도권인 부산(3천639만원)과 광주(3천667만원)도 평균 연봉이 4천만 원에 미달했다.

울산직장인의 급여가 전국 시·도 가운데 해마다 1위를 차지하는 것은 대기업이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대구지역은 상대적으로 산업구조가 외주·중소기업 위주기 때문에 급여수준이 낮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지난 2021년 기준 대기업 직장인의 월평균 소득은 중소기업(266만원)보다 2배 이상 많은 563만원에 달했다.

특히 산업별로 평균소득이 높은 직장은 금융·보험업(726만원), 전기·가스업(663만원), 국제·외국기관(515만원) 순인데, 대구에서는 해당업종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다.

대구는 지난해도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 전국 꼴찌를 기록했다. 1992년 이후 30년 넘게 받아 드는 성적표다. 대구시는 현재 홍준표 시장 취임 이후 산업구조 재편을 위해 5대 신산업 분야(ABB, 반도체, 로봇, UAM, 헬스케어)에 집중 투자하고 있으며, 놀랄만한 성과도 내고 있다.

지난해 대구의 1분기 기준 경제성장률은 3.8%로 전국 평균 0.9%보다 4배 높게 나타났다. 취업자 수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인 126만 명을 기록했다.

청년 고용 증가율은 4.2%로 광역시 중 1위였다. 대구가 계속 신산업 분야 개척에 속도를 내서, 앞으로는 전국 직장인들이 부러워하는 도시가 됐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