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부당한 관행과 대우, 과중한 업무로 MZ세대로부터 외면받는 공직사회 쇄신을 위해 내놓은 ‘근무 혁신 4대 과제’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한다. 홍준표 시장 취임 후 시작한 근무혁신 실천과제는 자율성과 사생활을 중시하는 새내기 공무원들의 가치를 공직문화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는 취지다. 전국적인 현상이긴 하지만, 대구시에서는 최근 젊은 공무원의 퇴직률이 증가하고 지원자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대구시에서는 1990년대 이후 출생한 공무원 기준, 2022년에는 65명 중 17명, 지난해에는 89명 중 8명이 퇴직했다. 공무원연금공단 자료에 따르면, 2018년 5천761명이던 2030세대 공무원 퇴직자 수가 지난해 10월 기준 1만1천67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낮은 보수가 주된 원인이지만, 경직된 공직문화와 과다한 업무 스트레스도 한몫했다.

대구시는 우선 그동안 관행처럼 이어져온 인사철 떡 돌리기를 자제하도록 했다. 공직사회에는 타부서로 이동한 직원을 잘 봐달라는 의미로 직전 부서의 모든 직원이 이동한 직원의 새 부서로 찾아가 떡을 돌리는 문화가 있다. 연가 사용도 필요에 따라 눈치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부서장의 대면결재 없이도 연가를 원하는 시기에 자유롭게 사용하는 분위기를 만드는 게 목표다. 부서장 지시에 따라 마지못해 참석하는 저녁 회식문화도 가급적 없애기로 했다. 자택 주소, 가족관계 등 사적 정보도 최소 범위에서 공개하도록 했다.

대구시가 낡은 조직문화로 인한 청년 인재들의 이탈을 막기 위해 세심하게 대책을 시행하고 있는 것은 백번 잘한 일이다. 지방정부 정책이 효율적으로 실현되도록 하기 위해서도 공무원의 의식이나 행태를 비롯한 조직관행을 쇄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사실 우리나라 대부분 공직자는 그동안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복지부동·무사안일 문화에 젖어 있다’는 말을 귀가 따갑도록 들어왔을 것이다. 공직사회가 혁신의 주체가 되지 못하면 결국 혁신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