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유력 경제전문지인 레제코(Les Echos)가 최근 철강에서 배터리 산업으로 변신하는 포항의 활력 넘치는 모습을 소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작은 어촌마을이던 포항을 인구 50만의 도시로 성장시킨 대기업인 포스코의 성장과 현재를, 그리고 새로운 도시 성장동력으로 배터리 산업을 유치한 포항시의 혁신적 활동상을 소재로 삼았다. 이강덕 포항시장의 인터뷰도 실었다.

특히 레제코는 특화단지를 통해 배터리 밸류 체인을 만들어가는 포항의 변신이 프랑스 배터리 허브도시로 떠오르는 덩케르크와 유사하다고 소개했다. 덩케르크는 프랑스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최근 80억유로(86억달러) 규모의 배터리산업 투자를 유치한 곳이다.

레제코의 보도를 본다면 포항시는 철강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산업구조 재편에 비교적 성공한 도시로 평가됐다. 2030년까지 이차전지 분야 100억달러 유치라는 인프라 확대 측면뿐 아니라 발빠르게 산업구조를 혁신하고 있는 포항시의 역동성을 높게 평가한 것은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많은 도시가 산업구조 혁신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지만 쉬운 일이 아니다. 아직까지 성공했다는 도시는 드물다. 포항은 일찍 산업구조 재편에 공을 들여왔고 지금은 이차전지 특화도시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지속적이고 성장 가능한 행정과 추진력이 뒷받침돼야 하는 과제는 있다.

포항시는 세계적 철강도시 미국의 피츠버그시를 벤치마킹한 적이 있다. 철강도시에서 금융, 의료, 교육 등의 4차산업 중심도시로 거듭나는 피츠버그를 롤모델로 삼자는 의견도 있었다. 피츠버그는 지역의 대학과 민간단체들이 총체적 협력을 통해 도시 재생의 신화를 창조한 도시다.

포항은 포스코를 통한 철강도시로 이미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고 도시기반도 탄탄하다. 환동해 중심도시로 성장하기에 매우 좋은 여건이다. 과학첨단도시, 관광문화도시, 철강과 이차전지의 산업도시로서 무궁한 잠재력을 보유한 도시다.

프랑스 유력 경제지 보도를 계기로 포항의 저력을 발휘해 세계로 도약하는 면모를 갖춰가야 한다. 환동해 중심도시를 위해 착실한 준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