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전 한동대 교수
장규열 전 한동대 교수

지나갔다, 수능이. 한 해 내내 속을 태웠던 그날이 흘러간 지 벌써 일주일이다. 수험생에겐 1년이 아니라 살아온 평생을 깎아 넣었을 그 하루를 살아낸 지금, 당신의 소감은 어떠신가. 고3 교실의 오늘 풍경은 어떨 것인지 궁금하다. 대학입시에 모든 걸 걸은 듯 보이는 우리 교육의 모습은 처연하다. 공교육의 목표가 대입은 아니라지만 현실은 언제나 같은 자리가 아니었을까.

성패의 비결이 그날의 시험으로부터였음을 아는 청년들은 수능을 여전히 무겁게 만난다. 수험생뿐인가. 자녀들의 장래가 걸린 수능 날에는 부모와 온 가족이 비상이다. 고3 담임교사와 학교도 긴장하긴 매한가지. 그런 하루를 보낸 지금, 모두들 어떤 날들을 보내고 있을까.

교육의 진정한 모습을 발휘할 시간이다. 수능의 긴장에서 풀려난 오늘, 20대를 눈앞에 둔 청년들이 이제야말로 미래를 생각할 시간이 아닌가.

시험과 점수의 압박을 벗은 오늘, 살아갈 내일을 상상하며 비전을 세우고 꿈을 만들어야 한다. 세상에 눈을 뜨고 이웃을 살피기 시작하는 오늘이 되어야 한다. 어깨를 펴고 어른이 될 준비에 나서야 한다. 학교와 교실에 묶였던 시선을 넓혀야 하고, 남들과 함께 사는 어른의 일상을 배우기 시작해야 한다. 체험의 폭을 확장하고 만남의 범위도 넓혀야 한다. 우물 안 개구리가 비로소 호연지기(浩然之氣)를 품을 단초를 깨우쳐야 한다. 공교육의 틀을 벗어나 스스로 공부할 준비에 나서야 한다. 읽고 묻고 의심하고 토론하는 환경에 익숙해야 하고, 정답을 찾기 보다 질문을 지어내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수능이 지나간 오늘, 수험생 개인뿐 아니라 학교와 가족은 자녀의 미래에 시동을 걸 출발점에 선다. 고교졸업과 대학입학이 형식적인 과정이지만, 준비를 위한 태도의 조율은 지금부터 작동해야 한다. 풀어진 긴장에 익숙해진 나머지 준비없이 대학생활로 접어들지 말아야 한다.

온라인과 SNS가 대세라지만, 지식과 트렌드의 핵심은 여전히 책 속에 있다. 교과서를 벗어나 폭넓은 독서에 나서야 한다. 지식인 선배들이 먼저 깨우친 발견과 생각 가운데 내게 필요한 가닥을 얼른 챙겨 익혀야 한다. 주변의 국내 소식도 알아야 하지만 이제는 멀리 나라 밖 환경에도 다가가야 한다. 가까운 이슈들도 챙겨야 하지만, 기후와 인구 등 거대담론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수능 다음 교육’에 관하여 우리 학교는 잘 준비하고 있을까. 통합교과와 생활교육에 교육계가 분발해야 한다. 청년들이 미래환경에 익숙하도록 이끄는 일을 학교가 맡아야 한다.

수능이 지났다고 교육이 할 일을 다한 게 절대로 아니다. 공교육이 누려야 할 ‘유종의 미’를 ‘수능 다음 교육’으로 거두어야 한다. 자칫 풀어졌을 학생들의 긴장을 흥미로운 주제와 관심으로 다시 잡아내야 한다. 학생들이 학교에 머무는 마지막 날까지 교사의 할 일이 남아있어야 한다.

수능과 함께 모든 고삐를 던져버리는 실수는 학생도 교사도 피해야 한다. 수능이 지나가도 교육은 자리를 지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