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삼국통일 - 무열왕과 김유신의 시대
② 사후엔 왕의 반열에까지 오른 ‘김유신의 빛’

경주 황성공원에 만들어진 김유신의 동상.

21세기처럼 가까운 약국에만 가도 위장병과 두통, 소화불량을 치료하는 각종 약과 상처에 바르는 연고를 구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었다. 또한, ‘내과 수술’이란 단어 자체가 없던 시절이었다. 신라(기원전57~935)를 통틀어서 그러했다.

그럼에도 우리식 셈법으로 여든을 목전에 둔 79세까지 살았다. 그뿐 아니다. 열다섯에 수백수천의 낭도를 이끄는 화랑이 된 그는 사다함, 관창과 더불어 ‘신라 화랑의 트로이카’로 불린다.

벼슬? 고대왕국 신라에 존재했던 벼슬 중 그가 해보지 못한 것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왕 아래 세 번째로 높았던 소판(蘇判)과 두 번째 관등 이찬(伊飡), “일인지하 만인지상”으로 불린 대각간(大角干·오늘날 국무총리), 거기에 클 태(太)자를 하나 더 붙인 태대각간(太大角干)은 오로지 그만을 위한 만든 벼슬이었다. 이른바 위인설관(爲人設官·특정인을 위해 만든 자리)의 직위.

그가 죽었을 때 왕을 포함한 정부의 고위관료와 친인척, 지인들이 슬픔을 전하며 보내온 부조(扶助)는 현대의 화폐 가치로 환산하면 500억 원이 훌쩍 넘었다고 한다.

마지막은 더 흥미롭다. 그는 신라 역사에서 유일하게 왕으로 추존(追尊)된 사람이다. 그를 달리 부르는 명칭은 ‘순충장렬 흥무대왕(純忠壯烈 興武大王)’. 사후 1천350년이 흐른 지금도 경주에서 벚꽃이 가장 아름다운 길을 ‘흥무대왕로’라고 부른다.

 

오르지 못한 벼슬 없을 정도라는 김유신 ‘순충장렬 흥무대왕’ 별칭 가져

가야왕족 후손 신분 한계를 김춘추와 여동생의 혼인 주도해 뛰어넘어

“저항하면 구족을 멸하겠다” 병력 곱절되는 반란군 앞에서 당당히 맞서

◆ ‘불멸하는 이름’으로 남은 신라의 장군

오래 전 세상을 떠난 한 사람을 설명하는데 위와 같은 긴 문장이 사용됐다. 아니, 겨우 685자의 글로는 그의 굴곡 많고, 영화 같았던 삶과 죽음을 설명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일. 갓 젖먹이에서 벗어난 아이들까지도 ‘한국의 장군’이라 하면 임진왜란 때의 명장으로 “내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남았다”고 일갈한 이순신(1545~1598)과 더불어 가장 먼저 입에 오르는 김유신(595~673).

육체는 이미 흙이 돼 사라졌지만, 그의 이름은 길고 긴 세월을 뛰어넘어 사람들의 기억 속에 선명하게 남았다. 이를 ‘불멸(不滅)’ 혹은, ‘사라지지 않은 정신’ 외에 어떤 단어로 부를 수 있을까?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 편찬위원회’가 펴낸 책 ‘통일신라 시기 1-중앙과 지방’ 역시 김유신이 신라 역사에서 차지하는 높은 자리를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80여 명의 인물을 다룬 ‘삼국사기’ 열전 10권 가운데 3권을 김유신에게 할애하고 있다.…(중략)”

이 책은 김유신이 무열왕과 문무왕을 도와 성공시킨 ‘삼국통일’이 가지는 역사적 의의에 관해서도 약술하고 있는데, 아래와 같은 내용이다.

“신라는 백제, 고구려를 멸한 데 이어 한반도 전역을 차지하려던 당군마저 물리치고 676년 삼국통일을 이룩하였다. 비록 불완전한 통일이지만 한반도에 처음 통일국가를 형성하였다는 것은 민족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 신라인들은 이를 ‘일통삼한’으로 인식하였고, 신라의 국가적 위상도 고양되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등의 고문헌에 의하면 김유신이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것은 아니다. 신라의 정통 귀족이라 보기는 어렵다는 게 정설. 그는 가야 왕족의 후손이다. 신라가 가야를 병합할 때 항복한 왕족 중 하나가 그의 조상이었다.

신라의 성골(聖骨) 바로 아래 계급인 진골(眞骨)로 편입됐지만, 왕의 혈족들과 결혼할 수 있는 진성(眞成) 귀족은 되지 못한 것.

그가 여동생 문희를 김춘추에게 시집보내기 위해 임신한 문희를 “통정한 사내가 누구냐?”라고 매섭게 추궁하며 불에 태워 죽이려 했다는 건 잘 알려진 설화다. 여기에서 숨겨진 김유신의 ‘정치적 야심’을 읽을 수 있다.

이 사건(?)은 누이와 ‘통정한 사내’가 김춘추라는 걸 뻔히 알면서도 벌인 김유신의 드라마틱한 자작극에 가깝다고 이해해도 무방할 듯하다.

결과적으로 김춘추는 후에 왕위(태종무열왕)에 올랐고, 김춘추와 김유신은 제부와 처남 사이가 된다. 왕의 손위 처남이 된 김유신의 정치적 위상이 한 단계 더 높아졌음은 불문가지(不問可知).

미래를 내다보며 마음속으로 신라 사회의 ‘블루칩’으로 지목한 사내 김춘추를 자신의 여동생과 혼인관계로 맺어준 주도면밀한 연출자의 모습에서 김유신의 내적 명민함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김유신에 얽힌 설화가 전하는 경주 재매정.
김유신에 얽힌 설화가 전하는 경주 재매정.

◆ 명민한 정치적 판단력과 함께 ‘일당백 무장’의 모습도

김유신은 위와 같은 빠른 정세 판단과 내면적 깊이에 더해 외적인 용맹성도 갖춘 사람이었다.

일당백(一當百) 무장(武將)으로서의 김유신이 삼국통일을 위한 각종 전투에서 어떤 모습을 보였고, 어떤 공을 세웠으며, 그 공적이 어느 정도의 가치를 지니는 것인지는 영남대학교 군사학과 이영찬 객원교수의 논문 ‘김유신의 군인정신과 리더십 연구’에 잘 드러나 있다. 다소 길지만 그대로 인용한다.

“김유신은 신라의 무신으로 백제를 멸망시키고 삼국통일의 대업에서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본관은 김해이며 가야국 김수로왕의 12대손으로 15세가 되던 해 화랑으로 낭도를 이끌고 수련하다가 신라군이 고구려의 낭비성을 공격할 때 최초로 전투에 참여하여 큰 공을 세웠다. 이후 압량주 군주로서 백제군을 격퇴하고 통일 전쟁에서 뚜렷한 공적을 세우는 등 신라의 중추적 인물로 성장했다. 당나라가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신라까지 침략하려 하자 그는 군사를 지휘하며 지도자적인 임무를 수행했다. 그가 사망한 이후 신라는 당의 군대를 대동강 이북으로 몰아냈다. 이순신이 우리나라를 침략해오는 왜적을 물리쳤다면 김유신은 삼국을 통일하고 한반도를 지배하려는 당나라를 물리쳐 명실상부 자주독립의 국가를 만드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지략가가 아닌 무정단호(無情斷乎)한 무인(武人)으로서 김유신이 보여줬던 결기는 선덕여왕 때 발생한 ‘비담과 염종의 반란’에서도 드러난다.

반란이 일어나자 1만여 명의 군사를 가진 김유신에게 그 곱절인 2만 명의 병력으로 무장한 비담은 “패배할 게 분명한 싸움에 나서지 말고 내 밑으로 들어와”라고 조롱했다.

이에 발끈한 김유신은 “너희 반란군 중 항복하는 자는 용서하겠으나, 내 군대에 저항하는 이들은 구족(九族·고조, 증조, 조부, 부, 자기, 아들, 손자, 증손, 현손까지의 동종 친족을 아우르는 단어. 즉, 피붙이 전부)을 멸하겠다”고 응수했다.

실제로 김유신은 반란이 진압된 후 항복을 거부한 반란 수뇌부의 구족을 모조리 죽였다. 반란 가문의 목을 베는데 어른과 아이의 구분 따위는 없었다. 반면 항복한 이들은 약속대로 죄를 묻지 않았다고 한다.

중국 역사 속에도 유사한 전례가 있다. 서초패왕(西楚覇王)으로 불리는 항우(項羽 ·기원전232~기원전202)는 진나라와 전투를 치를 때 상대편 군사 20만 명을 산 채로 땅에 파묻는다.

맞서 싸우던 적군이 항복을 했음에도 지금의 경주 인구보다 조금 적은 숫자의 사람들을 모조리 생매장한 것이다.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Holocaust) 이상으로 무시무시한 이야기다.

이를 보면 김유신은 항장불살(降將不殺·항복한 장군은 죽이지 않는다)을 넘어 항졸불살(항복한 졸병도 죽이지 않는다)까지 실천한 덕장(德將·덕을 갖춘 무장)이었던 모양.

◆ 신라의 지배자였던 김유신은 행복하기만 했을까?

비단 ‘비담과 염종의 반란’에서만이 아니다. 김유신은 온전한 삼국통일의 방해세력이었던 당나라 군대를 몰아낼 때도 가장 앞자리에 섰다. 앞서 언급한 이영찬 교수의 논문을 다시 인용한다.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당나라는 백제 땅에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를 두고, 고구려 땅에는 평양에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하여 군정을 실시했다. 또한, 신라 본토에 계림도독부(鷄林都督府)를 두어 삼국 전체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려 했다. 이러한 당의 침략 행위에 대한 투쟁에서도 김유신은 지도적 역할을 했다.…(중략) 672년 석문(石門·황해도 서흥) 벌판 전투에서 신라의 군대가 당에 밀리고 있을 때는 문무왕에게 전략을 자문하기도 했다. 결국, 신라군은 김유신 죽은 뒤인 676년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이북으로 몰아냈다.”

이처럼 삼국통일의 과정에서 큰 공을 세우고, 나라로부터 누구도 부러울 것 없는 최고의 대접을 받았으며, 장수(長壽)의 복까지 누린 김유신.

그런데, 과연 그의 삶에는 환한 빛만이 있었을까? 그렇지 않다. 이어질 기사에선 그를 어둡게 뒤덮었던 ‘그림자’에 관해 이야기해볼까 한다.

(계속)

/홍성식기자 hss@kbmaeil.com

사진/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