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열 전 한동대 교수
장규열 전 한동대 교수

사람은 무엇 때문에 사는가. 세상에 태어나는 순간만 생각해도 신비로운 한 평생을 살면서 우리는 무엇을 위하여 사는가.

‘행복하기 위하여 산다’는 쉬운 답에도 개운치 않은 것은 인간에게 행복은 어떻게 찾아오는지 누구에게도 그리 명쾌한 해답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 가운데 가장 위험한 태도가 유행따라 사는 게 아닐까 생각해 본다. 극작가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가 ‘모든 유행은 틀려먹었다’고 하였다. 남들 따라 사는 일이 처음에는 제법 그럴듯해 보여도 나만의 무엇을 좀처럼 가지지 못하게 함으로 틀려먹었다는 게 아닌가. 부러운 남들의 그 모습을 따라 사느라, 나를 찾으며 도전하고 새 것을 만들어내는 열정은 사라지게 마련이다.

애플의 스티브잡스(Steve Jobs)는 고교 시절 어느 날, 세상에 보이는 저 모든 것들이 따지고 보면 누군가 사람들이 만들어낸 물건들이었음을 깨달았다고 했다. 그런 자각과 함께 남들을 흉내내며 살아오던 자세를 무엇인가 내 것을 만들어낸다는 각오로 바꾸었다고 한다. 그랬던 끝에 우리 손에 아이폰이 들려있는 게 아닐까.

대한민국 청년들이 오늘 힘들다고 한다. 우리에게 새로운 무엇을 향한 기대나 열정이 식어있는 것은 혹 아닐까.

어려운 가운데 돌파구를 열어내고 힘든 속에서 빛줄기를 찾아내려는 다짐이 있어야 한다.

세상이 어떻게 흐르는지 감각을 익히기 위하여 관찰해야 하지만 세상만 좇아가는 삶으로 마감하기에 우리의 삶은 너무나 짧고 아깝다.

유행과 모방 탓에 식어버린 감각은 무디어지고 나만의 세계를 드러낼 방법을 잃게 만든다. 소니(SONY)를 창업했던 이부카마사루(井深大)도 ‘비즈니스나 과학기술의 세계에서 진짜 성공에 이르려면 남을 따라가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하였다.

기업에도 브랜드 자산 외에 분명히 드러낼 수 있는 자신만의 무엇이 있어야 성공한다는 것이다. 내게는 무엇이 있는가. 끊임없이 살피고 찾아내어 당신만의 무엇을 만들며 살아야 하지 않겠는가.

지역에도 그곳에만 있는 그 무엇이 틀림없이 있다. 아니 있어야 한다. 지역문화와 예술이 지역마다 똑같은 이야기로 수렴한다면 웃음거리가 아닐 수 없다. 우리 지역에서만 만날 수 있는 이야기를 찾아야 하고 다음 세대와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새롭게 다듬어야 한다.

미국 가수 리앤워맥(Lee Anne Womack)은 ‘세상을 정말로 놀랍게 하고 싶다면, 무엇인가 다른 시도를 반드시 해야 하고 실패할 위험을 무릅써야 한다’고 하였다. 다른 곳에는 없는 무엇을 만들어야 한다. 어디선가 본 듯한 모습을 반복하면 절대로 안 된다. 여기서만 만날 수 있어 이곳으로 사람을 끌어올 꿈을 가져야 한다.

내게는 있으나 남들에게는 없는 그 무엇을 찾아야 한다. 포항지역에는 이미 성공했던 경험이 있다.

포항에만 있었던 포스코가 지역을 우뚝 일으켜 세웠고 오늘은 저 높은 곳에 스페이스워크가 상상과 가능의 지평을 일깨워 준다. 당신은 누구인가. 남들을 닮으려 애쓰기 보다 남들과 다른 나를 찾는 여행을 떠나야 한다. 유행은 가라, 나를 찾을 터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