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대예측’
클라우스 슈밥·피터 반햄 지음
메가스터디북스 펴냄·경영

두 번의 세계대전이 끝난 후 약 75년간 세계 경제는 급성장했다. 하지만 지금 세상은 두 가지 극단적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 우리는 오늘날처럼 부유했던 적이 없을 정도로 절대적 부와 평화의 시대를 누려왔지만, GDP(국내총생산)로 대변되는 경제시스템은 가져온 부의 크기만큼이나 다양하고 복잡한 부작용도 함께 파생시켰다.

4차 산업혁명의 개념을 처음 제시한 클라우스 슈밥(84) 세계경제포럼(WEF) 회장은 지난 2020년 세계경제포럼 연례총회에서 현재 시스템은 세계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으며, 근원적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 기업 및 개인이 참여하는 전체적인 대응, 그리고 이해관계자 자본주의가 필요함을 역설했다.

기업은 더 이상 단순히 영리를 추구하는 조직이 아니라 정부 및 사회를 아우르는 더 큰 시스템에 속하는 하나의 이해관계자로 작동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즉각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또한 그는 한 매체 기고문에서 “코로나 위기는 자본주의의 리트머스 시험지와도 같다”고 표현하며 어떤 기업이 이해관계자 모델을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슈밥은 세계경제포럼의 국제미디어위원회 피터 반햄 위원장과 함께 쓴 신간 ‘자본주의 대예측’(메가스터디북스)에서 위기에 직면한 세계 경제가 헤치고 나아가야 할 해법을 모색해 진지하게 들려준다. 국내총생산 위주의 성장 전략에서 벗어나 기업이 임직원, 하청업체, 시민사회와 공생하는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해법으로 제시한다.

이 책은 세 개의 파트로 이뤄졌다.

제1, 2부에서는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의 역사,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인류가 얻게 된 영광과 실패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제1부 ‘우리가 살아온 세상’에서는 세계대전 이후 주주자본주의의 성장, GDP 위주 경제 성장 측정의 문제점,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발전, 사회 분열 현상 등에 대해 다루고 있다. 2부 ‘경제시스템의 발전과 퇴보의 역사’에서는 급속한 세계화, 기술의 비약적 발전, 기후변화와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짚어본다.

슈밥은 세계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다양한 구조적, 사회경제적 문제를 살펴본다. 다양한 산업에서 시장의 일부 독점도가 증가하고 성장은 둔화되는 추세이며, 혁신은 계속되지만 이에 따른 환경 오염과 천연자원의 근시안적인 사용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그는 세계화, 4차 산업혁명, 환경 및 자원 사용 문제 등을 유발하는 원인을 시스템 측면에서 접근하며 중국, 덴마크, 에티오피아, 독일,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 다양한 곳에서 그 솔루션을 찾는다. 뒤이어 경제시스템 개선은 현세대의 생존을 위해, 미래 세대의 지속을 위해 지금 바로 행동에 옮겨야 할 중요 어젠다임을 강조하며, 그 해법으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제안한다.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이상적인 모습은 무엇인가? 제3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미래 세대를 위한 시스템 개혁’에서는 기업만을 위한 자본주의 황금기는 이제 끝났음을 강조하며 모든 이해관계자의 공감과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발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정부, 기업, 개인 등 각 주체가 취해야 할 방향인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설명하며 각국의 모범 사례를 소개한다.

“단기적 이윤 극대화, 세금 및 규제 회피, 환경 피해의 외면과 같은 이기적 가치에 의해 움직이는 경제 체제는 계속될 수 없다. 이제 모든 사람과 지구 전체를 돌보도록 설계된 사회, 경제 국제사회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지난 50년간 서구에 팽배했던 ‘주주자본주의’와 아시아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국가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하는 ‘국가자본주의’에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나아가야 한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