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인문학’

김남일 지음
휴먼앤북스 펴냄·민속학

어민과 함께 채취한 미역을 살피는 김남일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오른쪽).

‘세계 미역문화의 발상지, 포항 영일만’.

국내 처음으로 미역과 관련된 인문전문서로서 한민족의 해조류문화(Korea’s Seaweed History)를 집대성한 책 ‘미역인문학’(휴먼앤북스)이 출간됐다. 미역의 해양생태적 가치와 첨단산업으로서의 미역의 활용성 등 미역문화의 과거, 현재, 미래를 짚어보고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브랜딩(branding) 작업의 일환으로 바다를 지켜온 민중들의 이야기를 담은 의미 있는 책이라는 평가다. 저자인 김남일 씨는 경북 상주 출신으로 행정학박사이자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이 책은 말 그대로 미역에 관한 인문학적 보고서다. 역사를 추적해 고구려 시대 이후 미역이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이자, 마을 공통체에서 공동작업을 통해 채취한 주요 수산물임을 밝혀낸다. ‘삼국유사’의 연오랑세오녀 신화 속에 나오는 바위가 미역바위임을 추측해 내는 것처럼, 저자 김남일 씨는 여러 문헌과 자료를 통해 미역의 과거와 현재를 인문학적으로 읽어낸다.

미역은 해조류 음식 재료의 하나가 아니라 한국인의 DNA에 깊이 각인된 해양문화유산이다. 생일날 또는 산모가 출산 후에 먹은 음식이기도 하지만, 미역은 그 이상의 문화적 요소가 담겨있다.

이 책은 미역 문화의 탄생, 어촌마을 공동체에서 차지하는 미역의 중요성, 미역의 문화사, 문학작품과 민요 속에 나타난 미역, 미역의 생태학적인 위치, 미역의 유통과 관련한 미역 길(켈프로드·Kelp Road), 미역 음식의 진화와 변신, 세계진출 등 여러 항목의 풍부한 자료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한국인에게 미역은 단순한 먹을거리가 아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미역 문화가 있기에 그 미역(해조류) 문화를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해야 한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2021년 ‘울진·울릉 돌미역 떼배 어업’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등재됐고, 2014년 말을 타고 새우를 잡는 벨기에의 ‘우스트덩케르크의 전통어업’과 2016년 ‘제주도 해녀 어업’이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돼 있기에 충분히 설득력 있는 주장이다.

한국인들은 해조류 중 한국산 ‘김’이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으로 알고 있지만, 세계시장에서 ‘김’은 일본이 종주국이다. 이에 저자는 미역도 자칫하면 이웃 나라에 그 주도권을 빼앗길 수도 있을 것이라고 우려한다. 저자가 심혈을 기울여 여러 자료를 섭렵해 이 책을 쓴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2021년 2월 19일 시행된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발맞춰 우리 청소년들에게 바다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역동적인 동해의 역사문화를 깊게 이해하도록 하고 싶었다. 일본이 와카메(wakame)라는 이름으로 이미지를 선점할 우려가 있어 세계 미역 문화의 발상지인 우리의 미역 문화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도 디딤돌이 되고 싶었다”고 밝혔다.

저자는 1989년 행정고시에 합격한 뒤 공보처 장관 비서관, 국무총리실 행정쇄신위원회를 거쳐 1995년 경북도로 옮겨 새경북기획단장, 환경해양산림국장, 독도수호대책본부장, 문화관광체육국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독도, 대양을 꿈꾸다’, ‘마을, 예술을 이야기하다’, ‘독도 7시 26분’ 등이 있다. /윤희정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