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발표한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 출생아수는 46개월째 감소세다.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가진 국가인데도 그 바닥을 알 수 없을 만큼 추락하는 형국이다. 인구 절벽이 곧 닥칠 것이라고 모두가 예상은 하고 있지만 그 속도가 너무 빠른 것 아닌지 걱정이 태산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9월 중 우리나라 출생아수는 2만4천123명으로 전년 동월(2만6천66명)보다 1천943명(7.5%)이 줄었다. 동월 기준으로 역대 최소 기록이다. 2015년 11월 이후 46개월째 내리막이다.

출생아수가 매월 역대 최소 기록을 갈아치우면서 1∼9월 누계 출생아수는 23만2천317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7.9%나 감소했다.

가임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생 출생아수인 합계출산율은 올 3분기가 0.88명으로 전년보다 0.08명이 감소했다.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통계청이 매달 발표하는 인구 통계를 보면 그때마다 최저 기록 경신이 이뤄진다. 지금처럼 최저 기록을 경신하다보면 언젠가 그 바닥이 보일 것 같으나 실제로는 바닥을 짐작할 수가 없다. 출생아수는 온 국민이 걱정하는 사이 약 20년 만에 반 토막이 나버렸다. 농촌지역일수록 출생아 수가 적은 등 지역별로 편차가 있으나 국가 전체적으로 보면 별 의미가 없다. 일관되게 출생아수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지역도 이번 조사에서 합계출산율이 작년 경우 0.99명으로 처음으로 1명도 안 되는 수치를 기록했다. 인구 유지에 필요한 합계출산율 2.1명의 절반에도 못 미친 것이다.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앞으로는 사망률이 출생률을 앞지르면서 인구감소 속도는 더 빨라질 것이 뻔하다. 정부의 종합적인 대책이 급하다. 정부는 최근 10여년 간 저출산 대책으로 120조원의 재정을 쏟아부었지만 출산율은 여전히 세계 최저다. 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시행중인 저출산대책이 무려 190개에 달한다고 했다. 상당수가 중복 또는 유사정책으로 효율성은커녕 예산만 낭비한다는 지적이다. 출산장려금 지원 등 단기처방을 떠나 국가차원의 고단위 인구정책이 있어야 한다. 이러다간 국가소멸이 현실화될까 두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