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이 정부의 규제자유특구 지정에 포함됐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대구는 스마트 웰니스사업, 경북은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사업(포항)이 지정되면서 향후 관련 산업의 성장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대구·경북을 먹여 살릴 미래 신산업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기대되는 바가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규제자유특구는 새로운 기술을 규제 없이 연구해 사업화시킬 수 있는 제도다. 특히 이번 규제자유특구는 지역단위로 핵심 규제들을 패키지로 완화해 비수도권지역의 신산업 육성을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대구와 경북뿐 아니라 부산은 블록체인, 세종은 자율주행차, 강원은 디지털 헬스케어, 충북 스마트 안전제어, 전남 이-모빌리티 등 모두 7군데가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됐다. 올 1월 도입한 규제 샌드박스보다 진일보한 제도로 평가돼 각 지역단위별로 신기술 시험이 이제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고용효과도 많이 기대된다. 지자체 추산에 따르면 이들 특구에서는 향후 4∼5년간 매출 7천억 원, 고용유발 3천500명, 400개 기업 유치효과가 기대된다고 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와 관련해 “대구가 스마트 웰니스 규제자유특구 지정으로 의료산업 선도도시로서 도약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포항의 규제자유특구 지정은 경북이 반도체에 버금가는 미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 거나 같다”고 의미를 높이 평가했다.

이제 해당 지자체가 얼마나 노력을 잘하느냐에 따라 규제자유특구 지정의 의미를 살려 나갈 수 있다. 정부의 지원도 당연히 있어야 하겠지만 지자체가 스스로 나서 기업을 유치하고 행·재정적 지원을 효율적으로 지원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모처럼 주어진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실패에 그친다면 그 지역이 받게 되는 상대적 손실이란 이루말 할 수 없을 만큼 크다. 대구의 스마트 웰니스 사업은 빅 데이터의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 4차산업 기술을 의료에 접목한 것이다. 대구시는 그동안 전략적으로 투자한 의료 및 헬스케어, ICT 융합산업과 관련해 다양한 인프라를 갖고 있는 지역이다. 모처럼 찾아온 기회를 통해 대구가 새로운 기술개발의 선도도시는 물론 신화를 창조하는 명품도시로 명성을 날려야 한다. 사실상 스마트 웰니스 사업은 대구의 미래 먹거리 사업이라 보아도 틀리지 않을 만큼 중요하다. 경북도 포항 영일만산업단지와 블루밸리산업단지가 차세대 배터리 규제자유특구로 지정을 받았다. 포항을 향후 차세대 배터리 산업의 메카로 만든다는 각오가 준비에 나서야 한다. 전국 어느 도시도 흉내내지 못할 연구 인프라와 기술로 포항의 미래를 기약해야 한다. 규제자유특구 지정이 지속적인 것은 아니란 점 유의해야 한다. 성과에 따라 연장이나 확대되고 또는 해제도 가능한 것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