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한동경북대 명예교수·정치학
▲ 배한동 경북대 명예교수·정치학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 체제는 위기에 처한 당 개혁을 위한 궁여지책으로 출범했다. 홍준표 당 대표는 대선 패배에 이은 지방선거 참패로 물러났다. 제 1야당인 한국당의 지지율은 계속 폭락했고, 친박과 비박의 당내갈등은 계속됐다. 박근혜 정부 시 총리후보에서 낙마한 김병준 교수는 전격적으로 한국당의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했다. 그러나 그의 당 개혁을 위한 조치는 곳곳에서 암초에 부딪치기도 했다. 며칠 전 한국당은 나경원 의원을 당의 원내 대표로 선출했다. 한국당은 이제 미묘한 입장차이를 보이는 김병준·나경원 투 톱 체제로 운영되지 않을 수 없다. 한국당의 쌍두마차가 헝클어진 당을 위기에서 구할 것인가. 아니면 양자의 갈등으로 당은 다시 내홍을 겪을 것인가.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출발시부터 당내 친박이나 비박의 확고한 지지기반없이 불안한 상태로 출범했다. 그는 노무현 정부의 청와대 정책실장과 교육부총리를 지냈으며 진보적인 정책 노선을 견지했던 인물이다. 한국 정치판에서 진보와 보수가 큰 틀에서 보면 별다른 의미가 없지만 우리 정치의 현실에서는 보수와 진보 진영은 엄연히 구분된다. 그래서 진보와 보수를 넘나드는 김 위원장의 정치 행태는 어느 쪽으로부터도 환영받기 어렵다. 벌써 김 비대위원장이 자신의 정치적 욕망만을 채우려 한다는 비판이 따른다. 그의 정치적 정체성은 용기있는 결단이라기보다는 기회주의자로 공격받기 쉽다. 김 비대위원장의 정체성 혼란이 당 리더십의 위기와 연결될 수 있다.

그렇다면 새로 선출된 나경원 원내대표가 당 개혁의 헤게모니를 장악할 것인가. 그것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많다. 그의 당선은 친박과 비박의 갈등구도에서 어부지리의 결과라는 것이다. 원래 그는 비박이었으나 탈당치 않고 잔류파로 남아 있다가 이번 경선에서는 친박의 지지로 당선됐기 때문이다. 그는 원내대표 경선 3수만에 친박에 빚을 지고 당선된 셈이다. 그는 당선 후 이번 경선이 친박과 비박의 갈등의 종식이라고 주장했지만 그것은 단지 정치적 레토릭일뿐이다. 정치9단 박지원 의원은 그의 당선을 ‘도로 한국 당’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이것이 나경원의 인적 청산의 딜레마이고, 한국당의 리더십의 위기구조이다.

한국당의 투톱 체제는 당면한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을까. 현재로서는 전망이 밝지 않다. 한국당은 당 개혁을 위한 인적 청산이라는 어려운 과제를 우선 처리해야 한다. 김 비대위원장 체제는 출범한지 오래 되었지만 당 개혁의 구체적 프로그램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당 개혁의 핵심 과제인 인적 청산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친박과 비박은 당의 절박한 위기 상황의 책임을 서로 상대에게 전가하고 있다. 비박은 대통령의 탄핵을 초래한 국정 농단의 원천적 책임을 친박에게 돌리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 탄핵의 원죄에서 자유롭지 못한 친박은 대통령 탄핵의 책임은 탄핵에 동조한 비박이 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는 아직도 당내 다수파인 친박의 기득권 유지를 위한 선제 방어기제이지만 당의 근본 개혁에는 역행한다.

이러한 와중에서 한국당의 조직강화 특위는 지난 15일 늦게 현역의원 21명이 포함된 79개 지역의 당협위원장을 교체키로 했다. 인적 쇄신 명단에는 최경환, 홍문종 의원 등 친박 핵심과 비박계의 좌장인 김무성 의원과 조강특위 김용태 위원장도 포함되어 있다. 김병준 비대위 체제는 양비론적 입장에서 친박과 비박의 핵심을 잘라 버린 셈이다. 탈락된 현역 의원들이 반발할 것은 명약관화하다. 한국당의 인적 쇄신을 계기로 당내 친박과 비박의 갈등은 더욱 격화될 조짐이 보인다. 투톱의 리더십이 2월 전당대회까지는 봉합된 채로 유지될지도 의문이다. 보수정당의 인적 청산을 통한 체질 개선이 어려운 이유도 여기에 있다. 현재로서는 2월 전당대회까지의 한국당의 당 개혁 과정을 예의 주시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