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잔류파 지원 받은
나경원 의원 원내대표에 선출
친박 주축 TK 적극 옹호 분석
당선에 결정적 도움이 안돼
물갈이 대상 가능성 전망도

▲ 문희상 국회의장(오른쪽)이 12일 오전 예방한 자유한국당 나경원 신임 원내대표와 환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에 나경원 의원이 선출되면서 대구·경북(TK) 지역 정치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지 지역정가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친박계와 잔류파의 지원을 받은 나 원내대표가 당내 화합을 위해 친박계 주류를 이루는 TK정치권에 이득이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TK정치권이 소용돌이에 휘말릴 것이라는 전망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일단 이번 원내대표 경선에서 비박계 지원을 받은 김학용 의원을 무려 33표 차이로 따돌린 나 원내대표가 친박계 주축인 TK를 적극 옹호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 한마디로 TK 정치권이 인적쇄신을 피할 수 없다는 얘기다.

경북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5∼6명을 제외하고 나머지 TK의원들이 나 의원에게 한 표를 행사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탈당파와 김무성계 인사들만 김 의원을 지지했을 뿐 초재선 의원들이 나 의원을 대거 지원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며 “친박의 도움을 받았으나 당선에 결정적인 도움이 됐다고는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조강특위가 당협위원장 교체지역을 14일 발표한 뒤 공모를 통해 당협위원장을 뽑아 재선임한다. 이후 2∼3월 전당대회를 하겠다는 스케줄이 잡혀져 있는 이상 TK가 인적쇄신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나 원내대표도 국민 눈높이에 맞는 쇄신이 필요하다고 인식을 가지고 있고, 김병준 비대위원장도 조강특위 그물망에서 빠져나왔지만 교체가 필요하다는 인사는 자신이 직접 권한을 행사하겠다고 답변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지역 관계자는 “나 원내대표가 당연직 비대위원으로 비대위에 합류한다고 하더라도 인적쇄신에 대한 결과물이 일정부분 나온만큼, 이 결과를 뒤집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조강특위가 주도한 인적 쇄신 작업의 1차 결과물이 이르면 14일 공개될 예정인 가운데 TK 지역구 현역 당협위원장도 일부 교체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벌써부터 지역정가에서는 원외는 물론 현역의원 5∼6명이 교체대상이 될 것이라는 소문이 나오고 있다.

조강특위위원장인 김용태 사무총장은 12일 “이번 주말 전후로 당협위원장 교체지역을 발표하고, 곧바로 공모 절차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앞서 조강특위는 전국 253개 당협위원회에 대한 현지 실태조사를 벌여왔다. 최근에는 실태조사 결과 소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원외 당협위원장 10여명에 대한 면담도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조강특위는 인적 쇄신 원칙으로 △2016년 총선 ‘진박 공천’ 연루 인사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관련 인사 △대여 투쟁에 미온적인 인사 △존재감이 약한 영남 다선 등을 제시했다. 이는 TK지역을 정조준하는 대목이다.

반대로 친박계로부터 지원을 받은 나 원내대표가 인적쇄신에 미온적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TK친박 등이 나 원내대표를 지원한만큼, 부채의식을 가질 수 있다는 논리다. 실제 나 원내대표는 경선 과정에서 비대위의 인적 쇄신이 당내 화합을 훼손하는 방향으로 가선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더 나아가 나 원내대표는 12일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우리의 에너지를 크게 해하는 쪽의 쇄신에 대해선 좀 우려한다는 입장”이라며 “국민들 눈높이에서 쇄신이 필요한 부분이 있을 거다. 조화를 이루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첨예한 계파 갈등을 불러올 수 있는 인적 쇄신 결과물에는 나 원내대표가 제동을 걸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는 대목이다.

한편 한국당은 당헌·당규 개정 작업을 이달 중 마무리할 방침이다. 당헌·당규개정특별위원회는 오는 25일까지 당헌·당규 개정안 초안을 만들고 26일 의원총회를 열어 회람 및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칠 예정이다. 개정안은 이후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개정안에는 내년 2월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앞두고 집단지도체제나 단일지도체제 등 새 지도부의 체제와 선출 방식이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또 뇌물·불법정치자금 공여 및 수수·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기소만 돼도 당원권이 정지되도록 한 현행 당원권 정지 관련 규정 개정도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개정안을 두고 당 대표 예비후보들이 이해관계에 따라 반발할 가능성이 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