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새삼스럽진 않다. 그러나 한국사회가 이렇게 빠르게 노령화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세계적으로도 한국사회의 노령화는 주목받을만큼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 2000년 고령화 사회(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 7%)에 진입한 지 17년만에 고령사회(고령인구 비율 14%)로 들어섰다. 세계 최초로 초고령사회로 들어선 일본보다 7년이나 빨랐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 총조사에서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인구 대비 14%를 넘었다. 반면에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일할 수 있는 생산연령인구는 줄고 부양해야 할 노령인구는 늘고 있다는 뜻이다.

또 0~14세 유소년 인구 비율이 13.3%로 집계돼 처음으로 고령인구에 추월당했다. 유소년 인구 대비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령화 지수는 107.3으로 2016년(100.1)에 비해 7.2가 증가했다.

한국사회가 빠르게 늙어가는 가운데 지방일수록 노령화 속도가 가파르다. 지방의 젊은이가 일자리가 없는 지방을 버리고 수도권으로 대거 빠져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 과밀화 해소와 중앙과 지방의 균형발전을 위한 전략적 정책이 있어야 할 때다.

이번 조사에서 대구(14.1%)도 부산(16.3%)과 함께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경북(19.0%)은 전남(22.0%)에 이어 전국 두 번째로 비율이 높았다. 전북과 강원이 그 뒤를 이었다. 노령화 지수를 지역별로 볼 때, 전남이 171.5명으로 가장 높았고 경북이 155.1명, 강원 149.3명으로 조사됐다.

시군구별로는 229개 시군구 중 경북 군위군이 647.5명으로 전국 최고치를 보였고, 경북 의성군이 616.9명으로 두 번째로 높았다. 경북은 노령화 지수 상위 1,2위를 포함, 전국 상위 15곳 가운데 6곳이 포함됐다.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는 지방소멸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얼마 전 한국고용정보원이 제시한 자료에 의하면 올 6월 현재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곳은 89곳(39%)이나 됐다. 소멸위험지구도 수도권은 상대적으로 덜한 반면 지방에 집중됐었다. 경북에서 노령화 지수가 높았던 군위, 의성, 청송, 영양 등과 같은 다수의 농촌도시는 소멸 예상지역에서도 예외없이 포함됐다. 건강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가 많아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노인인구가 많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출산율이 떨어지는 것은 정부차원의 대책이 마련돼야 할 문제다.

저출산과 고령화는 우리 사회의 근본 틀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문제다. 인구 내적의 변화를 살펴 국가 경쟁력 제고와 국민의 쾌적한 삶을 위한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 인구변화라는 거대한 패러다임을 쫓아 국가가 가야 할 방향을 잡아가야 한다. 지금 지방은 소멸의 위기감을 실감하며 살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