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가 끝나고 지방의회들이 대체로 원 구성을 마무리지었다. 그러나 대구시와 경북도내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의장단 및 상임위 배정을 놓고 곳곳에서 적잖은 마찰음이 빚어졌다. 이번 6·13 지방선거를 통해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이 대거 당선되면서 자유한국당 소속 의원들과의 신경전이 의정 초반부터 불거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지방의회의 건전한 경쟁구도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향후 의정활동이 순탄치 않음을 예고하는 분위기로 보는 이도 많다.

재적의원 32명 가운데 절반 이상인 19명이 한국당 소속인 포항시의회도 개원하자마자 파행을 거듭했다. 상임위원장 선출을 놓고 여야가 힘겨루기를 벌이다 야당 의원의 보이콧으로 한국당 소속 의원들만이 참여하는 선거를 치르기도 했다. 대구 북구의회도 의장단 선출을 둘러싸고 개원 첫날부터 파열음을 냈다. 북구의회도 민주당이 부의장과 상임위원장 한자리를 요구했으나 한국당의 수용 거부로 민주당 의원들이 빠진 가운데 선거가 치러졌다.

이에 앞서 대구시의회 등 광역의회에서도 비슷한 현상들이 나타나 제11대 의정에서는 소통을 통한 협치의 기능이 매우 중요할 것이라는 지적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특히 지역민을 대표해 선출된 지방의원들이 자치단체의 중요사항을 심의 의결하는 기관이라는 점에서 정당보다 지역을 위한 자세로 의정에 임해야 한다는 충고의 목소리가 높다.

지방의회는 지역민의 대변자다. 국회의원과는 역할에 있어 차이점이 많다. 지방의원이 중앙정치에 매달려 맹목적으로 중앙 의견에 따른다면 지방의원으로서 기능은 없는거나 마찬가지다. 비록 현행법상 정당이 소속 당원을 후보로 추천토록 하고는 있으나 지방의원 스스로가 정당의 정치적 색깔을 배격하고 지역민을 위한 정치로 매진해야 비로소 지방이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지역 국회의원들의 과감한 지원이 있어야 한다. 기초자치단체의 정당공천제 폐지가 바로 이런 이유에서 출발한 것이다.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정당공천 폐지는 오랜 숙원이었으나 중앙 정치권의 외면으로 아직까지 구호에만 그치고 있다. 이번 6.13 지방선거에서도 중앙 정치인들이 공천권을 남발하는 바람에 지역 곳곳에서 반발과 잡음으로 얼룩졌다. 책임정치를 구현한다는 이유로 지방정치를 줄세우겠다면 그것은 지역발전을 저해하는 행위일 뿐 아니라 풀뿌리 민주주의에 대한 배신이다.

지방의 기초의회가 의정 초반기부터 상임위 자리 등을 두고 파행을 거듭하는 모습에서 지역민의 실망은 컸다. 주민들은 지역발전을 위한 견제와 균형의 세력으로 올바른 의정을 이끌어 주길 희망한다. 기초단체에 대한 정당공천 배제는 중앙 정치인의 몫만은 아니다. 지방정치인 스스로가 의정 활동을 통해서 중앙정치 굴레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