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째 극심한 갈등을 빚고 있는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 해결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막 출범한 민선7기 지방자치단체 수장들이 전향적인 입장에서 해법을 모색하고 있어 희망적이라는 분석이다. 최근 과불화화합물 검출 소동으로 가뜩이나 불안해진 대구 수돗물 문제는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응급대책이 모색돼야 하지만, 정부가 나서서 하천오염을 원천봉쇄할 근본해법을 제시하지 않으면 안 될 문제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최근 수돗물 취수장 문제 해결을 위해 “구미시와 구미시민이 희망하는 전문기관에 대구취수원 이전과 관련된 용역을 맡기고 그 결과에 따르자”고 제안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적극 화답했다. 이 지사는 “구미시민이 동의할 정도의 조건을 걸든지, 아니면 안동댐과 임하댐에서 영천댐으로 가는 물을 검토하든지 해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대구 취수원의 상류 이전에 반대했던 장세용 신임 구미시장도 “구미시와 대구시는 취수원 이전을 두고 전문지식 없이 감정싸움만 해왔다”면서 “구미 입장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과학적인 데이터와 체계적인 조직을 갖춘 뒤 토론·협상에 나설 것”이라며 한 발 물러섰다.

‘먹는 물’ 문제에 관한 한 대구는 건듯하면 ‘생지옥’이 된다. 최근 낙동강 수계 대구 수돗물에서 발암물질이 함유된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됐다는 소식이 시민들을 또 다시 공포에 빠뜨렸다. 지난 1991년 ‘페놀 파동’ 트라우마가 되살아나 일상을 뒤흔드는 모양새다. 생수가 평소 일평균 판매량보다 5~6배 이상 판매되는 등 때 아닌 ‘생수대란’마저 벌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4년 수도정비기본계획에 따라 대구 취수원은 상류에 있는 구미 해평정수장을 같이 쓰는 방법이 가장 경제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대구시는 구미시와 수차례 협상을 벌여왔으나 진척을 보지 못했다. 취수장을 상류로 옮겨가는 조치가 양산할 피해에 대한 구미시민들의 우려는 일리가 아주 없는 게 아니다.

대구 취수원 문제를 둘러싼 하염없는 논란과 갈등은 사람을 해치는 괴물들이 우글우글 번식하고 있는 늪을 우회할 꼼수만 찾고 있는 바보짓과 다를 바 없다. 일단 발등의 불을 끄기 위해서 시도하는 타협책을 비난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본질은 이게 아니지 않은가. 구미공단이든, 어디든 하천오염원을 100% 차단할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 국가가 열 일 제쳐놓고 달려들어야 할 문제다. 당장 피해 갈 잔꾀만 부리다가는 결국 모두가 망하고 만다. 이런 식으로 해서야 환경오염 괴물의 놀라운 성장과 확산속도를 무슨 수로 따라잡나. 정부는 하루빨리 낙동강 수계의 완벽한 수질관리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함께 내놓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