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락현경북부 차장
▲ 김락현경북부 차장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문제가 구미시장 선거의 최대 쟁점으로 떠올랐다.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는 1991년 페놀사건 이후 구미공단 하류 낙동강 수계를 이용하는 대구시민의 식수 오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됐다. 그동안 해묵은 민감 현안이면서도 대구시와 구미시의 대립으로 답보상태만 유지해 왔다.

10여 년 간 양 도시의 대립으로 인해 해결되지 못한 문제가 이번 선거로 인해 과연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을까.

구미시장 선거에 출마한 후보 5명 모두 “구미시민의 뜻을 따르겠다”면서도 반대, 찬성, 중립 등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여당 후보와 제1야당 후보는 이 문제에 대해 분명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후보들의 이러한 입장은 그동안 이 문제가 정치적 논리로만 접근했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의 경우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문제를 더불어민주당 홍의락(대구 북구 을) 국회의원이 앞장 서 추진하는 것을 두고, 같은 소속당이 아닌 다른 의원의 주장이라는 이유로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다 정권이 바뀌고 최근 선거철이 되면서 대구지역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취수원 이전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다분히 이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취수원 이전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는 못하다.

새정부 출범 후 이낙연 국무총리가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대구와 구미 지도자들과 만나 막걸리라도 한잔 하면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조속히 논의하겠다”고 말했으나 지켜지지 않았다. 이 총리가 강정고령보를 방문하기도 했으나 취수원 이전 문제에 대해서는 슬그머니 빠지는 듯한 모습이다. 올해 초 극심한 가뭄으로 청도 운문댐의 취수가 어려워지자 지역을 방문한 국토교통부 김현미 장관도 취수원 이전 문제는 지역간 협의를 통해 해결할 문제라고 발뺌했다. 중앙정부라 해도 지역 간 물 분쟁이 대구시와 구미시만의 문제가 아닌 전국적인 사안이기에 섣불리 나서기 힘들었을 것이다. 결국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는 정치적으로 해결 해선 안되며, 해결 될 수도 없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설명한 셈이다.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에 대해 대구시와 구미시가 보여 준 ‘무조건 이전’, ‘무조건 반대’는 지역 이기주의의 상징이 되고 말았다.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로 양 도시가 얻은 것은 지역 간 불신(不信)과 이기심(利己心) 뿐이었다. 취수원 이전은 결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주는 쪽과 받으려는 쪽은 서로의 고통과 어려움을 인정하고 보듬어야 한다. 또 베푸는 쪽에 대한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보상도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대구시는 취수원을 이전하면 깨끗한 원수만 공급받는게 아니다. 상수도 보호구역이 풀리면서 많은 혜택을 보게 된다. 반면 구미시는 상수도 보호구역이 늘어나면서 산업개발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고, 국가공단에 들어가는 용수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다. 베푸는 쪽에 대한 보상이 더 절실한 이유다.

여기에 또 하나의 문제는 올해 초 홍의락 의원과 대구시가 산업통상자원부에 요청한 구미국가산업5단지의 불승인이다. 5공단에서 나온 화학물질이 폐수종말처리장을 거쳐 법적기준치 이하로 희석이 되더라도 미량의 유해화학물질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대구시의 입장이었다. 하지만 이건 누가봐도 트집잡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정한 법정 기준치를 대구시가 믿지 못하겠다고 반기를 든 것이나 다름없다.

대구시와 구미시는 경제적으로 서로 벗어날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다. 이제 감정싸움은 그만하고 서로 상생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번 선거를 통해 양 도시가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시장이 당선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