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1천957명으로 전년보다 10%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질병사망자 수는 993명으로 전년보다 22%가 증가했으며, 사고사망자 수는 964명으로 전년보다 0.5%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재해 사망자 가운데 안전사고로 인한 사고사망자 수는 10년 전보다 18% 정도 줄었다. 해마다 감소세를 이어 2014년에 와서는 1천 명 이하까지 떨어졌다. 산업현장에서의 안전 의식이 조금씩 바뀌고 있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산업재해 가운데 80% 이상이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넘어짐, 떨어짐과 같은 재래형 재해가 절반 가까이 차지해 우리나라 재해의 고질적 문제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음을 입증했다.

포스코가 안전 관련 분야에 향후 3년간 1조1천50억 원을 투자키로 한 것은 산업현장에 대한 대기업의 안전 인식을 새롭게 조명했다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글로벌 기업답게 안전도 글로벌 기준에 따르겠다는 포스코의 의지다. 후진국형 재해가 끊이지 않고 있는 우리 현실에 대한 각성 등 이번 정책결정은 의미가 뜻깊다 할 수 있다.

포스코는 지난 4월1일 CEO가 참석한 창립 50주년 기념행사에서 안전을 기업 경영의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고 이미 천명한 바 있다. 이번은 그 후속 조치다. 기존의 5천억 원 예산에 5천억 원을 추가 증액했다. 집행 방법과 항목 등을 구체화해 적시했다.

포스코는 확보된 예산으로 조직 신설 및 인력육성에 투자한다. 중대 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장소와 시설물의 안전장치 보완에도 많은 예산을 사용할 예정이다. 특히 기계, 화공안전기술사 등 자격증 보유자와 관련학과 출신 등 200여 명을 안전요원으로 신규 채용키로 한 것은 주목할만한 일이다. 안전에 대한 기업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 대목이다. 이와 더불어 외주사에 대한 지원도 밝혔다. 포스코는 외주사의 안전의식 제고 및 안전수준 향상을 위해 별도 예산도 책정했다. 안전에는 본사와 외주사 간의 구분이 없다는 생각이다.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우리 사회는 세월호 사고 이후 재난 재해에 대한 안전 의식을 높여가고 있다. 인명사고와 관련한 재해에 대해서는 엄격한 사회적 관리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포스코는 지난 1월 제철소 내 산소공장에서 외주근로자 4명이 질식사하면서 글로벌 기업답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후진적 인명사고에 대한 질책이라 할 수 있다. 포스코는 2013년에도 2명의 사망 사고가 발생했고, 이후 수차례 비슷한 사고가 있었다. 포스코의 안전에 대한 대형 투자는 타 업체에 미칠 긍정 영향도 있다. 이번 결정이 자체 안전사고를 불식시키고 후진국형 사고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계기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