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전문가 조사결과

국내 금융시스템에 가장 크게 위협이 될 요인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가계부채가 꼽혔다.

최근 남북 화해 무드 조성으로 대북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위기감은 누그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보면 전문가들은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통상압력 가중(76%)을 꼽았다.

가계부채 누증이 74%로 그 뒤를 이었다. 한은은 지난달 16일부터 27일까지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 각 금융협회·연구소 직원, 대학교수,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투자 담당자 등 72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각 전문가에게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될 요인 5개를 각각 꼽아달라고 하고 그중 응답자의 50% 이상이 선정한 변수를 ‘주요 리스크’에 올렸다. 보호무역, 가계부채 이외에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60%)가 3위, 부동산시장 불확실성(50%)이 4위로 선정됐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를 위험 요인으로 꼽은 비율은 직전 조사인 작년 11월에는 26%에 그쳤으나 새해 들어 미·중 통상 갈등이 격화하면서 50%포인트나 급등(76%)하며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수 있는 가장 큰 변수로 선정됐다. 가계부채에 우려를 나타낸 전문가 비율은 작년 11월 조사 때 87%에서 13%포인트 쪼그라들었다.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응답률도 15%포인트, 부동산시장 불확실성은 6%포인트 각각 축소됐다. 반면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지난해 11월 조사 때 82% 응답률로 주요 리스크에 올랐다가 이번에는 38%로 낮아졌다.

각 전문가가 중요도 1순위로 가장 많이 꼽은 리스크는 가계부채 누증(26%)이었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는 17%,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15%로 그 뒤를 차례로 이었다.’

1년 이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주요 리스크로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가 꼽혔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부동산시장 불확실성도 단기에 나타날 수 있는 위험이지만 발생 가능성은 중간 정도로 평가됐다.

1∼3년 사이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는 가계부채 누증이 꼽혔다. 발생 가능성은 중간 정도로 평가받았다.

발생했을 때 영향력으로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가계부채 누증, 부동산시장 등이 꼽혔다.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중간 정도로 평가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