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청이 학교 공금을 횡령한 모 학교 행정실장에 대해 중징계를 요구하고 형사고발 조치했다고 한다. 이번에 고발 조치된 행정실장은 학교 공금으로 인터넷 쇼핑몰에서 물품을 구입한 뒤 카드결제 후 물품을 구입하지 않거나 수량을 축소하는 등의 수법으로 5천800만 원의 공금을 횡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교육청은 공금을 횡령한 행정실장에 대해서는 직위 해제하고, 징계위원회에 중징계를 요구했다고 한다. 이와 별도로 사법당국에 고발해 수사도 함께 진행될 것이란 소식이다.

학교 내에 이와 유사한 공금횡령 사건은 과거에도 자주 발생했다. 그것이 비단 대구지역 학교뿐 아니라 경북이나 서울, 경기도 등 전국 학교마다 심심찮게 발생하는 사건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감이라 할 수 있다. 수법도 비슷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학교장과 학교 내 다수의 사람들이 사건과 연루되기도 했다.

지난 2015년 10월의 일이다. 서울시교육청은 급식비 횡령의혹에 대한 감사를 벌인 결과, 교장, 행정실장, 용역업체 직원 등 무려 18명을 공금횡령 혐의로 경찰에 고발한 적이 있다. 음식 배송을 용역업체에 위탁한다는 명목으로 용역 근무일지를 작성하고, 실제로는 학교가 채용한 조리원에게 급식 배송을 맡기는 수법으로 4억 원이 넘는 공금을 횡령한 것이다. 충격적이라 할 수 있다. 학교운영이 독립적으로 이뤄지는 것을 빌미로 계획적으로 공금을 횡령해 왔다는 것에서 모두를 놀라게 했다. 9년 전 구미지역 모 중학교 행정실 여직원이 1년 동안 2억 원 가까운 공금을 횡령했던 것이 경찰조사에서 밝혀졌다. 수사과정에서 학교장 등과의 상납 고리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학교급식이나 학교물품 구입 등에 있어 행정실 관계자들이 연루된 사례는 그 외에도 얼마든지 있다.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새로운 수법이 등장한 것도 아니고 케케묵은 방법으로 같은 비리가 연속 발생하고 있는 교육계의 그릇된 악습이다. 어느 집단보다 청렴하고 모범적이어야 할 교육계가 아직도 이런 비리로 어둡게 비쳐져야 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이번 사건에 대해 교육청 관게자는 “꽤 오랜기간 공금 횡령이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고 했다. 수사기관에서 추가적인 비리를 밝힐 것으로 본다고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교육계의 자정력을 키우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제도적인 방법이나 시스템 개선 등으로 똑같은 비리가 연속으로 발생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물론 일벌백계의 조치와 감시체계를 보강할 방법도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한다.

이번 사건은 행정실장의 부적절한 회계 처리에 대한 학교 관계자의 제보에 따라 사실관계가 드러났지만 교육계 스스로가 부끄러워해야 할 문제다. 비리가 상습적으로 이어져 올 정도로 교육계의 도덕심이 비판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