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 학자는 저출산 노령화 현상을 두고 “총탄 없이 나라를 소멸시킨다”는 말로 인구 감소의 위험을 경고 했다.

우리보다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먼저 겪고 있는 일본의 경우는 심각하다. 2017년 기준으로 일본의 여성 3명 중 1명은 65세 이상 고령자다. 2020년에 가면 여성 2명 중 1명이 50세 이상 된다고 한다.

이러한 고령사회 문제가 이제는 우리나라에도 현실로 다가왔다. UN 인구분류 기준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라 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도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뒤 17년만에 작년 8월 고령사회로 공식 진입했다. 2017년 8월말 기준 행안부 주민등록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25만7천명으로 집계돼 전체 인구의 14%를 넘어선 것이다.

1997년 통계청이 추정한 고령화 사회 진입 예상 연도보다 5년 앞당겨졌다. 2050년에는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고령국으로 올라설 것이란 전망이다.

경북은 지난해 전체 주민등록 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전남(21.4%) 다음으로 많은 18.8%로 나타났다. 초고령 사회 진입을 바로 눈앞에 둔 수치다.

시군별로는 의성(37.7%)과 군위(36.6%)는 초고령 사회에 이미 진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방 단위의 인구 감소 현상을 지적한 자료는 얼마든지 있다. 전국 288개 시군 가운데 30%가 넘는 77군데가 지방소멸 예상지역으로 이미 조사된 바 있다. 작년 우리나라 3천502개 전체 읍면동 가운데 신생아 출산이 한명도 없었던 곳이 25개나 됐다는 조사도 나왔다. 경북이 영덕군 축산면 등 6개로 집계돼 광역도 가운데 가장 많았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저출산 고령화 현상으로 지역사회 봉사 등을 목적으로 결성된 농촌지역 청년회가 점차 사라질 위기에 몰리고 있다고 한다. 청년층의 농어촌 이탈로 사실상 참여할 젊은 층이 모자라 존립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어쩔 수 없이 청년단체 회원의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청년단체라는 간판이 이제 무색해질 형편이라 한다. 활동할 청년층이 절대 부족하면서 일부 단체들은 정관 개정 등을 통해 회원 자격연령을 높이는 고육책도 쓰기도 한다.

20년 전 150명에 달하던 경주 내남면 청년회는 현재 회원이 36명에 불과하다는 데 이런 현상은 전국 농어촌 지방의 보편화 된 현상이다.

농어촌 지역 인구 감소로 지방 소멸론이 거론되는 마당이나 이에 대응하는 정부 정책은 여전히 실효성을 잃고 있다. 국토면적의 12%에 불과한 수도권에는 지금도 인구가 집중되고 있다. 지방분권 등 말로만 하지말고 정부의 의지가 동원된 특단의 대책이 바로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