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대구공항 이전 사업이 난항을 거듭하는 가운데 지난주에는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원회가 개최됐다. 상생위는 2014년 11월 도시 간 경쟁 속에 대구경북의 경쟁력을 높이고 시도민이 살기 좋은 지역을 만들기 위해 만들어졌다. 대구시 행정부시장과 경북도 행정부지사가 공동위원장을 맡고 공무원과 각계 전문가 등 40명으로 구성했다. 대구경북은 한뿌리임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실제적 협력으로 상생의 길을 모색한다는 취지다. 그동안 5차례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35개의 상생과제를 선정했다.

이날 모임에서는 대구경북 공동발전을 위한 상생협력 사업의 실효성 제고 방안에 대한 정책 발표가 있었다. 또 기존에 추진하고 있는 35개 과제의 추진상황 점검과 양시도 협력을 필요로 하는 사업에 대한 의견 교환도 있었다. `대구경북 상생시민생활 대축전 교류참가`란 신규과제도 선정했다.

대구와 경북의 교류협력은 당연하면서도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그중 경제 분야의 교류는 과제도 많지만 양 지역 발전의 중요 기틀이 된다. 경북도청의 안동 이전으로 시도민 가운데는 행여 대구와 경북의 관계가 소원해질까 우려를 표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럴 때 일수록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의 역할은 더 중요하다. 최근 통합대구공항 이전을 둘러싼 4개 자치단체간의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처럼 동일한 과제라도 통일된 해법을 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대구경북의 미래를 위한 통합공항 이전문제도 그렇다. 4개 지자체가 각자의 입장을 주장하기 보다는 대구경북 전체를 내다본 대승적 차원의 협의가 중요하다. 지자체별로 지역이기주의에 집착하다 보면 소탐대실(小貪大失)의 우를 범하게 된다.

대구경북상생위가 제시한 35개 과제는 어느 것 하나 소홀히 다룰 수 없다. 대구통합공항 이전문제도 그렇지만 대구도시철도 연장,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대구광역권 철도망 구축, 경북도청 이전 터 개발, 문화예술 사업 교류 협력 등과 같이 사회 인프라에서 경제, 환경, 문화영역까지 다양하게 포진해 있다. 정부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분야도 많아 사업간 조율이 필수적일 때도 많다.

대구와 경북은 행정단위만 다를 뿐 인적교류는 대구와 경북을 가를 수 없을 정도로 친밀한 사회관계를 이루고 있다. 부모가 경북에 살고 자식은 대구에 사는 경우처럼 친인척 관계의 특성이 오랜 전통 속에 이어져 왔다. 그래서 교통,문화,경제 모든 분야에서 상생을 필수로 한다.

상생위가 만들어진 배경이기도 하다. 상생위를 통해 대구와 경북이 협력과 소통을 이뤄가는 시스템에 익숙해져야 한다. 상생위 기능에 더 활력을 불어넣는 노력도 있어야 한다. 인구 500여 만의 대구경북이 똘똘 뭉치면 못할 것도 없다. 상생위가 대구경북이 성장할 수 있는 최상의 방법임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