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현상이 우리나라에 나타난 것은 오래된 일은 아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이란 용어를 가장 먼저 사용한 영국의 사회학자가 이 문제를 거론한 것이 1964년도다. 이후 미국 맨해튼 등 세계적 도시들이 도시개발과 함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겪게 된다. 최근 중국은 경제성장과 함께 나타난 도심인구 증가로 이 문제가 보다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작년 세계 150개 도시의 집값 상승률을 조사해 보니 중국이 상위 10개 도시 중 8개를 싹쓸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수도 베이징의 경우 1년간 집값 상승률이 30%다. 서울의 1년간 집값 상승률 3.1%와 비교하면 베이징의 집값 상승률이 얼마나 심각한지 짐작이 간다.

국가가 경제를 통제한다는 사회주의 국가지만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국가적 해법은 없어 보인다. 우리나라 북경 교민과 주재원 등이 집중 몰려 살던 왕징지역도 집값 상승으로 변두리지역으로 이사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한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낙후된 도심공간이 재개발되면서 부동산 가치가 상승하고 그곳에 살던 원래의 주민이나 임차인이 바깥으로 내몰리는 현상이다. 자유경제 체제에서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그러나 사회 문제화가 된다면 국가가 관리 통제할 이유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제적 약자의 내몰림이란 측면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부정적 느낌으로 더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낙후된 도심공간의 개발이란 활성화 측면에서 보면 나쁘게만 볼 일도 아니다. 한국감정원이 서울 홍대 앞과 신사동 가로수길, 대구 방천시장 등 전국 12군데를 `젠트리피케이션` 이슈지역으로 선정한 바 있다. 사회 문제가 될지 관찰하겠다는 뜻이다.

대구 중구청이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조례` 제정에 나섰다고 한다. 2년 전에도 같은 조례 제정에 나섰던 중구청은 의회의 반대에 부딪혀 실패한 경험이 있다. 이번에는 의회를 어떻게 설득할지 관심이다. 시장경제에 맞지 않아 반대했던 구의회는 이 문제에 어떤 대응을 할지도 궁금하다.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묘법의 지혜가 필요하다.

/우정구(객원 논설위원)

    우정구(객원 논설위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