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정당 통합파 의원 9명의 복당으로 자유한국당 의석수는 머지않아 116석으로 늘어난다.

더불어민주당(121석)에 이어 원내 제2당이지만, 몸집이 커진 만큼 앞으로 원내 협상 과정에서 더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당내 상황은 복잡하게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바른정당에 있다가 한국당으로 복당한 의원들 대부분이 김무성 의원과 가깝다는 점에서 한국당내 `친(親) 김무성계`가 자리잡게 됐기 때문이다.

지난 5월 1차 집단탈당에 이은 이번 탈당으로 한국당으로 다시 합류한 의원은 모두 22명이고, 이들이 친 김무성계로 분류된다. 향후 친 김무성계와 친박계의 세대결이 재연될 소지가 많다.

우선 통합파의 좌장격으로 집단탈당을 주도한 김무성 의원은 홍 대표와 일단 전략적 협력관계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당장 당내에 친박(친박근혜)계라는`공동의 정적`이 있는 데다, 이미 복당한 친김무성계 의원인 홍문표 사무총장, 박성중 홍보위원장 등이 홍 대표 체제에서 주요 당직을 맡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김 의원은 당분간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보다는 `백의종군`하며 자숙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 의원을 비롯한 복당파와 친박계와의 긴장관계가 문제가 될 소지가 많다. 친박계 의원들은 박 전 대통령 탄핵에 앞장서고 바른정당 창당을 주도한 김 의원에 대한 반감이 매우 크다. 김 의원이 지난해 새누리당 대표 시절 `옥새 파동`으로 총선을 망치고, 탄핵 국면에서는 박 전 대통령 탄핵에 앞장서 정권을 고스란히 민주당에 헌납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친박계인 이장우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에 “김무성 전 대표는 한국당에 입당하기 전에 지난 공천 파동, 선거 패배, 분당 책임에 대해 머리 숙여 사과하고 21대 총선 불출마 및 정계 은퇴를 선언하는 것이 당원과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바른정당의 원외 당협위원장과 당직자들의 복당도 갈등을 빚고 있다. 지난 2일 한국당 사무처 노조가 이미 바른정당 당직자들의 복귀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데 이어, 바른정당 탈당사태가 현실화하자 `바른정당 사무처의 복귀 반대`를 내걸고 무기한 단식투쟁에 돌입했다.

현재 복당파 의원들의 지역구에 이미 임명된 당협위원장이 자리를 잡고 있는 경우도 교통정리 과정에서도 적지 않은 파열음이 터져 나올 우려가 크다.

/김진호기자

    김진호기자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