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1인당 지역 내 총생산(GRDP)이 20년 이상 전국 꼴찌를 지키고 있다는 사실은 이제 대구시민이면 웬만하면 다 안다. 대구경제가 지속적으로 추락하고 있는 것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으나 개선될 기미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대구시장이 바뀔 때마다 이런 위기감을 극복하겠다고 공약을 하고는 있으나 시장 단독의 힘으로는 개선하기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대구는 아직까지 성장이 멈춘 도시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국회 기획재경위 소속 추경호 의원이 국세청 통계연보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구지역 경제의 건강상태를 말해주는 지표들이 여전히 빈약한 것으로 집계됐다. 빈약하다 못해 오히려 초라한 모습이다.

대구지역 근로소득자 1인당 연간급여가 2천856만원으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 3천270만원의 87% 수준이다. 16개 시도 가운데 제주도를 제외하고는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러다 보니 대구지역 근로자 가운데 절반이상이 근로소득세를 신고하고도 면세를 받고 있다. 대구지역에서 연말정산을 통해 근로소득을 신고한 사람은 60만9천919명(신고급여 총액 17조4천억)이나 48.2%인 29만3천700명만 세금을 납부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구지역 근로자들의 급여 사정이 우리나라 근로자의 최하위급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 확인된 자료다. 젊은이들이 대구를 떠난다는 게 다 이유가 있었다.

1인당 종합 부동산 납세액도 전국 최하위권에 해당된다. 2015년 부동산 종합부동산세 결정 현황에 의하면 대구지역에서는 7천25명에게 모두 164억원의 종합부동산세가 부과됐다. 1인당 납세액은 233만원으로 전국 평균 497만원의 절반수준이다.

기업의 수입상태를 반영하는 법인 수입 및 법인 당 납부액도 전국 하위권이다. 2015년 수입을 신고한 법인은 전국적으로 59만1천694개였으며 이중 대구비중은 3.1%(1만8천588개)다. 수입을 신고한 법인의 총수입액은 4천468조원인데 반해 대구 비중은 2.5%(109조6천822억원)다. 법인 수에 수입액 비율이 크게 못 미치고 있다. 법인 당 납부세액은 전국 평균이 1억2천702만원의 38.6%인 4천898만원이다.

대구의 열악한 경제사정을 수치적으로 입증하는 자료여서 대구를 경영하는 기관들로서는 유의미한 해석을 할 수 있다. 그동안 대구경제 발전을 위해 지역의 지도자들이 열심히 일해 왔으나 아직은 그 성과가 결실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추 의원은 고부가가치산업의 유치를 통해 대구지역 근로자들의 임금상승을 유도해야 한다고 했다. 대구지역의 수많은 근로자들이 최저임금 수준의 박봉으로 일하고 있는 것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다. 대구경제 환경을 바꾸기 위한 정치권 등 지역 리더들의 노력이 절박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