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이변으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시의 도심지 폭우 방재대책이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시는 관내 57곳을 산사태취약지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분류 및 방재계획은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집중호우 피해를 막아주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도심 저류조 설치 사업 실적은 성과와 계획이 모두 전무하다. 폭우 방재시설을 하루빨리 대폭 보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휴일인 지난 25일 발생한 대구와 김천 등 도시지역의 집중호우는 인구가 밀집하고 위험시설이 많은 도시의 재난 위험성을 경고하는 계기가 됐다. 이날 오후 9시께 대구 신암동 동대구역 일대에 시간당 57mm의 폭우가 쏟아진 직후 역 대합실이 침수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대구기상지청은 오후 9시10분에야 호의주의보를 발령했다. 예보가 힘든 게릴라성 집중호우에 취약하기 짝이 없음이 입증된 것이다.

대구시는 관할구역 내 산사태취약지역을 모두 57곳으로 지정해놓고 있다. 수성구는 올해 처음으로 산사태가 발생한 경우 인근의 식당이나 주택에 중대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된 `진밭길` 1곳을 인명피해위험지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대구시는 팔공산과 앞산공원 등 시민들의 출입이 잦은 유원지에 사방댐 설치를 진행 중이다. 동구는 팔공산자연공원 4곳 등 모두 19곳, 서구는 3곳, 남구는 앞산공원 3곳, 달서구는 앞산공원 4곳, 달성군은 25곳 등 모두 54곳에 구조물이 조성돼 있다. 올해는 달성군 2곳에 사업을 추진 중이며 내년에는 동구와 달성군 1곳씩, 2곳에 예산 확보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1년 7월27일 서울 서초구에서 발생해 사망 16명, 중경상 51명의 피해를 낸 우면산 산사태를 통해 도심 폭우와 산사태가 얼마나 위험한지는 충분히 인식이 됐다. 집중호우는 지난 30년간 발생빈도가 곱절가량 증가한 것으로 집계된다. 강석호(영양·영덕·봉화·울진) 국회의원실의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1시간당 50mm 이상 발생빈도는 지난 1970년대 연7.4회, 80년대 10.6회, 90년대 13.5회에서 2000년대에는 14.4회다. 피해 면적은 지난 80년대 연 231ha, 90년대 349ha에서 2000년대에는 713ha로 무려 308%나 증가했다.

도심지 지하에 대용량의 빗물저장시설을 설치해 침수피해를 예방하는 시설인 저류조 설치를 비롯, 대구시가 취약한 부분을 대폭 보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인구의 밀집성과 인공구조물 등으로 인해 도심지역은 현대사회를 위협하는 각종 재난에 특히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재난대책은 모든 상황을 상정하고 충분히 준비할 때 비로소 완성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어리석음을 피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나가는 것이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