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규열 한동대 교수·언론정보문화학부
▲ 장규열 한동대 교수·언론정보문화학부

사람은 언제까지 배워야 하는 것일까. 여지껏 우리는 대개 만 6세에 시작하여 16년 내외의 교육과정을 거치며 어른이 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그 초-중-고-대로 이어지는 교육모델은 충분한 것일까. 돌이켜 보면, 이 모델은 근대적 교육개념이 정리되기 시작했던 초반에 만들어 지고 각국의 사정에 따라 정착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구한말 교육개혁을 시도했던 이래 일제를 거쳐 해방 후 1951년에 이 같은 학제가 교육당국에 의해 정책적으로 결정되었다. 이후 여러 논의가 있기는 하였으나 그 기본골격은 바뀌지 않고 있다. 그러는 사이, 우리 사회는 완전히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오늘 대학을 나오는 청년들은 어떤 미래를 기대하고 있을까. 그들이 획득한 학사학위는 그들의 삶에 어떤 약속을 해 주는 것일까. 20대 초중반에 교육을 마친 젊은이는 그가 앞으로 살아갈 60년 정도의 삶에 대하여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 것일까. 무엇인가 더 배워야 할 필요가 혹 있지는 않을까. 여러 가닥 궁금증이 꼬리를 문다.

빌 게이츠는 그의 책 `The Road Ahead(미래로 가는 길)`에서 인간이 할 수 있는 최상의 투자는 바로 `교육`이라고 정리하면서, 교육의 목표를 `학위를 받는 것으로부터 평생 배우는 일(Lifelong Learning)로 바꾸어야 한다`고 했다. 유네스코(UNESCO)는 통합적 평생교육을 21세기 교육의 중요한 정책 목표로 삼고, 산하에 평생교육원(UIL)을 두어 성인 교육에 방점을 둔 국제적 활동을 펼치고 있다.

독일의 모든 시민들은 이미 평생교육이라는 틀 안에서 다양한 교육적 혜택을 누리고 있으며, 미국은 지역의 커뮤니티 칼리지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끊임없이 교육의 기회를 가지도록 유도하고 있다. 중국은 `정교한 평생교육제도의 구축`을 주요 교육정책 목표로 하여 국민 모두에 의한 평생교육을 구현하려 애쓰고 있다.

우리는 어찌 하고 있는가. 지역에는 평생교육을 지원할 어떤 자원들이 있는가. 평생교육은 이제 정부 교육당국에만 의존할 수도 없게 되었다. 지역의 의미있는 평생교육 시스템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지역의 대학들이 나서야 한다. 이 나라에서 지역 대학들이 해야 할 일들이 여러 갈래일 터이지만, 지역의 평생교육을 가장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관으로 이들을 꼽고 싶다. `지역협력`이라는 듣기 좋은 슬로건을 대학이 가장 슬기롭게 구현할 방법도 평생교육에 있는 것이다. 대학이 언제까지 지역에 존재하되 수도권만 바라보며 지낼 것인가. 지역 사회와 함께 호흡하고 서로 도우며 더불어 발전을 도모하는 길은 지역에서 평생교육의 지평을 열고 적극적으로 지역 시민들의 미래를 펼쳐갈 때에 가능할 것이다. 인구절벽 현상으로 대학 신입생의 숫자도 가공할 만큼 줄어들고 있지 않은가. 이제 지역의 대학이 스스로의 경쟁력을 다시 쌓아 올린다는 의미에서도 평생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인 것이다.

지역의 시민들이 평생 배우는 일을 돕고, 지역에서 대학의 존재 이유를 다시 발견하며, 지역 사회와 공존의 모델을 만들어 가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하겠다. 그동안 어딘가 `이방인`의 모습을 하고 있었던 지역의 대학들이 이제는 적극적으로 지역의 발전에 기여하며 함께 성장해 가는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낼 열쇠는 `평생학습`에 있다.

혹, 기존 대학교육이 가졌던 전문성 교육에 손상을 입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겠지만, 균형과 조율의 묘를 한껏 발휘하여 대학발전모델 창출에 오히려 덕이 되는 방향으로 이끌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생각을 조금만 바꾸면, 대학이 살고 지역도 일어나는 전환점이 보일 것이다. 이제 우리는 모두 평생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대학은 언제까지 20대 청년들만 가르칠 것인가. 지역의 당신은 이제 그만 배울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