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효능 논란 아직도 여전
방사 상태 정량 주입 어렵고
접종시기 맞추기도 까다로워
전업농 백신비 50%도 `부담`

▲ 조류인플루엔자에 이어 구제역까지 발생하면서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7일 포항시 공동방제단이 북구 기계면 가축시장의 차량출입을 통제한 채 예방 방역을 하고 있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지난 6일 충북 보은군의 젖소와 전북 정읍의 한우에서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나면서 축산농가들의 `모럴해저드`가 도마에 올랐지만 정부의 방역체계에도 문제가 여전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관련기사 5, 6, 10면> 구제역이 발생하면 발생농장은 물론 인근 농장까지 살처분을 하고 매몰을 해야 하는 엄청난 경제적 손실과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현재 전국의 축산농가들은 심한 불안에 떨고 있다.

지자체 인력·시간 부족상황

미접종엔 과태료 처분 고작

물론 예방적 차원의 살처분 시 100% 보상을 하고 발생농장에 대해서는 그 원인을 조사해 60~80% 선에서 보상이 이뤄지지만 심리적 고통 외에도 정상적인 출하에 비하면 손실은 매우 크다.

문제는 이번 보은 구제역의 경우 백신 접종을 했음에도 항체 형성율이 20%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신을 접종하면 소의 경우는 97.5%, 돼지(모돈)는 70% 정도까지 항체가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접종만 충실히 하면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이 정부의 논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체 형성이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다.

우선 백신 자체의 역가가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반박에 대해 아직까지 정확한 조사나 전문기관의 발표가 없어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정부와 업계의 입장 등을 종합하면 현재로서는 백신의 관리규정 준수나 접종방법 등이 문제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구제역 백신은 정량 접종과 함께 오일(기름) 형태여서 적정 온도 유지가 관건이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정확히 실행하기는 매우 힘든다는 것이 현장의 목소리다.

가축 사육형태가 수백, 수천두씩 전업화 돼 있고, 한마리씩 묶어서 키우는 계류 방식이 아닌 방사 형식으로 사육하고 있어 백신 작업자들이 포획하기가 어려워 빠짐없이 일일이 접종을 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1t 가까운 무게에다 통제장치가 없어 저항하는 소에 정량을 주입하기는 매우 어렵다.

여기에다 소 50마리, 돼지 1천마리 이하 소규모 농가는 백신과 접종을 무료 지원하고 있지만 전업규모 농가는 백신구입비도 50% 자부담을 해야하고 자가방역을 해야 한다.

또 소는 접종시기도 개체마다 달라, 송아지는 생후 2개월과 3개월령에 1회씩 2회 접종을 하고 이후에는 6개월마다 접종을 하도록 규정돼 있어 무리 전체에 대한 체계적이고 세심한 관리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농가에서도 백신 접종을 할 경우 유량 감소나 유산, 스트레스, 염증부위 발생 등을 우려해 적극적인 접종을 기피하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지자체 등 감독기관 역시 어려움이 많기는 마찬가지다.

축산농가에서 축협 등을 통해 백신을 구입한 사실이 확인되면 접종까지 일일이 확인할 수 있는 인력이나 시간적 여유가 없으며 관련법령도 예방접종을 하지 않을 경우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이 고작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축산관련 단체와 방역기관 등에서는 “전업농가에 대해서도 백신구입비를 전액 지원하는 한편 도축장이나 최종 집산지에서 철저한 항체 조사를 하는 등 강력한 역추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상주/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