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신 용

갈대밭이었습니다

갈대 셋이 몸 엮어 서 있었습니다

둘은 넘어지기 쉬우니 셋이 기둥 버티고 서 있는 거 같았습니다

누가 그것을 눈물의 집이 아니라고 하겠습니까

눈물로 벽돌 쌓은 집이 아니라고 고개 갸우뚱 하겠습니까

마치 솥(鼎)자처럼 갈대 엮인 그곳에 조그만 새의 집이 지어져 있었습니다

뻘흙을 물고 날라 갈대잎 촘촘히 침 섞어놓은

작은 생의 집이 지어져 있는 것이었습니다

그 간장 종지만한 작은 흙집에 쬐그만 아기 손톱만치 쬐그만

새의 알이 놓여있는 것이었습니다

넘어지지 않으려고 전신으로 서로가 서로를 버팅기면서

바람 속에서 서로가 몸 부대껴 버텨내면서

안긴힘으로 품고 있는 정말 간장 종지 만한 새집 속의 새알 한 알

그것을 어찌 빛나는 눈물방울이라고 하면 안 되겠습니까

솥(鼎)자 속에 담겨진 빛나는 눈이라고 하면 안 되겠습니까

작은 새들도 알고 있었습니다

갈대도 셋이 엮이면 기둥이 된다는 것을

바람 속에 흔들리지 않는 집이 된다는 것을

갈대밭이었습니다

모두가 바람 속에서 흔들리고 있는 벌판이었습니다

바람 부는 갈대밭에서 시인은 갈대 세 줄기를 엮어 만든 작은 새집을 발견하고 그 속에 담긴 작은 새알을 보며 그 집은 새의 눈물로 엮어 올린 집이라고 느끼고 있다. 연약한 갈대 세 줄기로 한 집을 이루고 보금자리에 눈물방울 같은 알을 낳다니. 시인은 벌판이거나 갈대밭 같은 이 세상 어느 가난한 둥지에도 사랑과 정성과 눈물로 자식을 낳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는 생각에 이르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