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감소의 여파로 초·중·고생이 급감하는 한편 다문화 학생 수는 급증하는 등 학생들의 구성이 급변하고 있어 섬세한 정책대응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초·중등 교육의 구조를 조정하고 개혁하는 것이 대학 구조조정 못지않게 국가발전을 위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다문화 학생 수의 급증은 미래 한국 사회에 미칠 영향이 지대한 만큼 교육시책에서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올해 4월1일을 기준으로 조사해 30일 발표한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유치원부터 고등학생까지 학생 수는 663만5천784명으로 지난해보다 18만4천143명(2.7%) 감소했다. 감소폭은 지난해 2.4%보다 0.3% 포인트 늘어났다. 학교 급별로는 중학교 학생 수가 8.1% 감소해 가장 감소폭이 컸다. 초등학생은 1.5%, 고등학생은 2.0% 줄어들었다.

학생 수가 줄어들면서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22.4명(0.2명 감소), 중학교 27.4명(1.5명 감소), 고등학교 29.3명(0.7명 감소)으로 줄어들었다.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4.6명, 중학교 13.3명, 고등학교 12.9명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0.3명, 1.0명, 0.3명 감소했다.

반면, 다문화학생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2012년만 해도 4만6천954명이던 다문화학생은 올 들어 9만9천186명으로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이 가운데 80%에 육박하는 7만9천134명은 국내에서 출생했고, 1만2천634명은 외국인가정, 7천418명은 중도 입국했다. 부모의 출신 국적별로는 베트남이 24.2%로 가장 많았고 중국은 21.3%, 일본은 13.0%, 필리핀 12.6%, 중국(한국계) 12.4% 등이었다.

학령인구가 급감하는 긴박한 상황에서 개혁 논의가 대학에만 국한될 일이 아니라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클래스 사이즈가 크게 작아지고 있는 현상을 기회로 창의성이나 인성, 사회성 교육 등 다양한 교육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학생 수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초·중등학교의 여유시설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돼야 한다. 한층 여유로워진 교육 재원을 재편성하고 활용하는 방안 또한 적극 강구돼야 한다.

이제 고등교육 못지않게 초·중등 교육 시스템을 개혁함과 동시에 보육과 산업활동 등 교육과 관련된 모든 시스템을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재조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미 오래전부터 다문화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사회적 갈등과 슬럼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 서구의 현실이 가까운 우리의 미래일 수 있다는 인식을 갖고, 다문화 교육 정책도 세심하게 수립할 필요가 있다. 하루빨리 새로운 교육환경에 적합한 교육시스템을 재구축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