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내년 총선 공천 후보자 결정을 위한 경선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 제도가 실시되면 후보간 합종연횡이 이뤄지게 돼 현역의원의 프리미엄이 사실상 사라지게 된다. 그래서 그런지 벌써부터 1위가 과반 득표를 한 경우에만 결선투표를 제외할 것을 주장하는 측도 있고, 1위와 2위간 격차가 오차범위를 넘어서면 결선투표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등 향후 세부 운용방식을 두고 격론이 예상된다.

결선투표제는 총선 경선 과정에서 일정 수준 이상 지지율을 확보한 후보자들만 따로 추려 다시 한번 걸러내는 절차다. 새누리당이 이 제도를 도입키로 한 것은 후보들의 경쟁력을 철저히 검증하겠다는 취지다. 여러 후보에 흩어진 1차 투표의 지지율이 결선투표에서 헤쳐모여 야당과의 대결에서 이길 확률이 가장 높은 후보를 공천할 수 있다는 논리다.

그러나 결선투표제 역시 장·단점이 있다. 먼저 장점을 꼽아보면 새누리당 열세지역인 서울 등 수도권에서 이 제도를 시행할 경우 본선 진출 후보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또 대구·경북(TK) 등 새누리당 텃밭으로 꼽히는 지역에 이 제도를 적용하면 현역 프리미엄을 어느정도 걷어내는 결과가 될 수 있다.

보통 현역 의원과 원외 후보들이 겨루는 지역구 경선은 `일대다(一對多)`형태로 치러져 왔는 데, 이는 원외 후보들에 대한 지지율이 분산되기 때문에 현역의원에게 유리한 구도다. 원외 후보들은 `일대다` 형태의 기존 경선방식을 불공정 게임이라고 비판하면서 제도개선을 요구해왔다. 결선투표제는 교체지수가 높거나 경쟁력이 떨어지는 현역 의원들로서는 결선투표에서 지지율이 집결된 원외 후보에게 밀려날 가능성이 커지게 돼 기존 제도의 `불공정 경쟁 논란`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결선투표제 역시 단점이 있다. 현 상황에서는 청와대 등 이른바 친박핵심 인사들이 원외 후보로 나서 특정인을 떨어뜨리는 데 결선투표제가 지렛대로 작용될 수 있다. 비박(비박근혜)계 의원들이 결선투표제에 거부감을 보이는 이유다.

예를 들어 박심(朴心)을 등에 업은 인사가 텃밭인 대구·경부지역에 출마, 1차 투표에선 차점에 그쳤으나 결선투표에서 지지를 결집해 특정 현역 의원을 누를 수 있다. 이밖에 결선투표에서 지지 선언을 대가로 뒷거래의 유혹에 빠질 가능성이 많다는 점도 미리 단속해야 할 부분이다.

기존 새누리당의 후보 경선방식은 현역의원 물갈이를 어렵게 해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참신한 정치신인이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라도 새누리당의 결선투표제 도입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고인 물은 썩는다고 했으니, 우리 정치에 참신한 인물이 많이 진출해 새바람이 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