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 2030` 7개월 걸친 용역, 내달 최종보고회
`비전 2020`서 빗나간 인구 예측 등 반면교사
목표치 과대상향 과거 관례가 시정 부담으로
현 위기 극복 위해 거품 뺀 새 성장전략 고민

철강산업 침체 여파 등으로 도시 발전의 정체 위기감이 심화되고 있는 포항시가 최근 용역이 진행 중인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에서 미래 도시 규모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포항시는 지난 4월부터 오는 11월말까지 7개월의 계획으로 사업비 1억500만원을 투입해 (사)한국도시설계학회에 `창조도시 그랜드 포항 2030용역`을 발주했다.

이 용역은 오는 2016년부터 2030년까지 포항의 도시 발전 규모를 예상해 계획을 수립하고 새로운 도시 비전을 제시한다는 게 취지다. 용역기관은 지난 9월 시와 시의회 보고회에 이어 오는 11월 최종보고회를 할 예정이다.

시의 이번 용역이 더욱 관심을 모으는 이유는 초선인 이강덕 시장이 시정 2년차를 맞아 변모된 도시 안팎의 상황에 맞춰 과연 어떤 구상을 담을까 하는 점 때문이다. 특히 15년 뒤인 오는 2030년의 도시계획인구를 얼마로 잡을지도 관심이다.

이미 시는 박승호 전 시장이 재임하던 지난 2007년 `글로벌 포항비전 2020`에서 2020년 75만명의 계획인구를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이 계획은 현재 인구가 52만여명에 머물면서 당시 우려가 현실이 됐다.

이에 따라 포항시는 60만명대에서 계획인구를 수립해 용역의 내실화를 기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13일 정책기획과 관계자는 “국가 전체적으로 발전기조가 양적 성장에서 국민 중심의 질적 성장으로 전환하는 추세이다”며 “포스코 중심의 산업체제 위기로 인해 새로운 도시성장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통상 지자체의 중장기계획 용역은 미래발전 규모를 실제 가능한 범위보다 다소 높게 잡는 것이 관례처럼 돼 왔다. 이는 도시 전체의 목표치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국비예산 확보에서도 실리를 취하겠다는 의도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하지만 시는 8년전 수립된 발전계획이 새로운 체제의 시정에 지나친 부담을 준다는 분석 아래 거품을 걷어내고 내실화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용역 기관도 지난 용역의 문제점을 과감하게 지적하고 있다.

지난 달 포항시의회 자치행정위 보고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포항비전 2020`의 수정 보완 필요성에 대해 “8대 발전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나 분야별 구분에 불과하고 비전과 어떻게 조화되는 지에 대한 설명이 부재하다”고 지적했다. 또 “포항의 도시 미래상 불분명, 타 도시와의 차별성 부족, 비전 수립에서 주민 ·참여 부족, 각 행위자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번 용역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한 대응책을 중심으로 노후 주택의 정비와 개선, 외곽으로 팽창된 불균형발전 실태를 개선, 도심재생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안병국 포항시의회 의원은 “이강덕 시장으로 새롭게 출범한 포항시가 중장기발전계획에 많은 고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하지만 앞선 용역의 문제로 지적된 비전의 남발과 애매한 실현방법을 되풀이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재현기자 imjh@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