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끝 아래의 남산`전 등 3개전시회 개최

▲ 박대성 作 `불국설경`
▲ 박대성 作 `불국설경`
경주시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솔거미술관이 소산(小山) 박대성 화백의 작품을 기증받아 지난 21일 개관했다.

높이 3m·길이 13m 대작 `불국설경`
뉴욕 개인전 인기작 `우공투양도` 등
기증 830작품 중 48점 첫 선
작고 경주작가 7인 작품도 전시

미술관은 2008년 박대성 화백의 작품 기증 의사에 따라 미술관 설립구상이 시작됐고 2012년 경주세계문화엑스포 공원 내 건물 착공에 들어가 2014년 11월 완공됐다. 이후 여러 논의를 거쳐 통일신라시대의 화가인 솔거의 이름을 딴 `경주솔거미술관`이 탄생했다. 경북도와 경주시가 지원해 신축됐고 설계는 승효상 건축가가 맡았다. 천년고도 경주에 세워진 첫 공립미술관으로써 앞으로 지역 미술문화 발전과 관광자원으로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박대성 作 `솔거의 노래`
▲ 박대성 作 `솔거의 노래`
미술관 개관전에는 총 3개의 전시가 각각 다른 주제로 전시되고 있다. 이중 박대성 전시관 1~5관까지는 박대성 기증작품전 `불국설경`과 `소산 박대성 - 붓끝 아래의 남산`이, 기획전시실 1~3까지는`경주미술의 뿌리와 맥 7인전`이 각각 열린다.

박대성 화백이 미술관에 기증한 830점은 회화에서부터 도자기, 서예, 벼루 먹 등 화백의 70년 인생사를 응축시킨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 48점이 이번 전시에 소개돼 관람객들에게 첫 선을 보인다.

그 중 `불국설경`은 소산의 대표 작품으로 눈 내리는 불국사의 고즈넉한 풍경을 먹으로 담아낸 대작으로 높이 3m, 길이 13m가 넘는다. 묵(默)이라는 간략한 재료를 써서 대담하고 노련한 필치로 한 번의 붓터치로 그려내는 그의 작품들은 보는 사람을 압도시키기에 충분하다.

▲ 박대성 作 `고미`
▲ 박대성 作 `고미`
솔거미술관 개관과 더불어 박대성 화백의 최근작 15점이 `소산 박대성 - 붓끝 아래의 남산`이라는 타이틀로 기증작과 함께 전시되고 있다. 경주의 상징인 남산을 주제로 불국토를 표현한 전시작품들은 경주에서 칩거생활을 통해 얻어진 그의 정신세계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신라의 풍경과 정신을 붓끝으로 표현하고 싶어 한 그의 작품은 말 그대로 그 옛날 원효가 실현하고자 했던 무애행의 정신을 표현한 것일 수도 있다.

이중 `청산백운`은 내리닫이 형식으로 거대한 산봉우리를 응집시켜 화면에 옮긴 작품이다. 겹겹의 산봉은 검은 농묵으로 처리하고 중첩된 산세 표현은 거의 직선에 가까운 하얀 띠로 둘렀다. 거대한 산을 표현했지만 배경으로 푸른 산을 살짝 두었고 또 산 아래는 탑과 같은 건축물을 배치했다. `청산백운`은 움직이는 것과 움직이지 않는 것의 조화를 의미한다. 바로 산과 수, 즉 산수화의 원리와도 상통한다.

지난 2월 미국 뉴욕에서 가진 개인전에서 큰 호응을 얻은 `우공투양도`는 가로 4m가 넘는 대작으로 황소 두 마리가 대거리를 하는 그림이다. 이 외에도 보름달 아래 정자와 연꽃이 어우러진 `만월`, 캘리그래피가 금강역사의 두상을 감싼 `금강역사`, 도자기를 만들 때 쓰는 흙과 아교를 이용해 도자기를 그리고 글씨를 더한 `고미(古美)` 연작 등이 전시된다.

▲ 박대성 作 `남산`
▲ 박대성 作 `남산`
기획전시실 1~3에서는 `경주미술의 뿌리와 맥 7인전`이라는 주제로 경주미술의 뿌리와 맥이 되는 근·현대미술사 1세대 작고작가들의 작품 27점이 전시된다. 영남화단에서 경주 작가들의 미술사적 위상을 조명하고 그 맥을 짚어보자는 취지로 기획된 최초의 전시로 그 의미가 남다르다. 7인의 작고작가는 황술조, 손일봉, 김준식, 박봉수, 김만술, 손동진, 손수택 등이다. 격변기에 치열하게 예술혼을 펼쳐온 작가들의 생생한 작품 활동과 삶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아카이브전시도 함께 만날 수 있다.

`소산 박대성 - 붓끝아래의 남산`과 `경주미술의 뿌리와 맥 7인전`은 11월 29일까지 계속되며 박대성 기증작품전`불국설경`은 상설전시로 그 이후에도 관람이 가능하다.

소산(小山) 박대성 화백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수묵화가 소산 박대성 화백은 1945년 경북 청도군 운문면 공암리에서 태어났다.

한국전쟁이 발발했던 당시 한의사였던 그의 부친은 공비의 습격을 받아 돌아가셨고, 그 곁에 있었던 네 살짜리 박대성 화백도 왼팔을 잃었다. 이후 여섯 살부터 육체적 불편을 순명으로 받아들이면서 꾸준히 붓글씨를 쓰며 필력을 키우고 그림 그리기에 매진했다.

박 화백은 1968년 23세에 제17회 국전에서 `가을`이란 산수화로 입선하면서 화단에 화제가 됐다. 이후 8년 연속 입선하면서 전국적으로 지명도를 얻게 됐다. 1979년 중앙미술대전(중앙일보사 주최)에서 대상을 받으며 화려하게 재조명 받기 시작했다. 수묵작업을 기본으로 해 전통의 창조적 계승에 매진, 국내외 미술계에 주목받는 화가로 발돋움했다. 1999년부터 경주 남산에 정착해 `신라인(新羅人)`이라고 작품에 서면하면서 남산에서 먹으로 생애의 절정기를 맞고 있다. 최근 그는 뉴욕 아시아소사이어티박물관, 이스탄불 마르마라대 미술관, 베이징 중국미술관 등에서 초대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이에 앞서 그는 호암갤러리에서 대작 100여 점으로 개인전을 개최하면서 80년대의 스타작가 반열에 올랐다.

▲ 솔거미술관 전경
▲ 솔거미술관 전경
“그의 존재감이 점점 부각되는 이유는 역대 화가 가운데 가장 강렬한 에너지를 표출하고 섬세한 감각까지 자유자재로 구사하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은 단순히 평면적인 이미지라기 보다는 스펙터클한 드라마를 보는 것 같은 극적인 울림이 있다. 사실과 추상, 세밀함과 단순함, 강렬함과 서정성, 중후함과 유머러스함 등 양 극단 사이에서 그는 균형을 잡는 외줄타기를 즐긴다. 때때로 대상과 상황에 따라 어느 한쪽을 선택하기도 하지만, 극단으로 치닿지는 않는다. 양 극단을 적절하게 융합한다. 그래서 구상 속엔 추상이 깃들고 추상 속엔 구상이 엿보인다. 구상과 추상을 하나로 아우르는 세계, 그것이 그가 평생 지향하고 또한 이룩한 세계다. 그가 평생 지향하고 또한 이룩한 세계다.” (정병모 경주대 문화재학과 교수)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