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수사는 지난 3월 13일 포스코건설 사옥을 압수수색하면서 시작됐다. 베트남 등 포스코건설의 해외 건설현장에서 빼돌린 회사 돈의 이동경로를 추적했고, 토목환경사업본부를 거쳐간 임원과 협력사 대표 등 10여명이 횡령혐의로 구속됐다. 검찰은 지난 5월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을 조사한 뒤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법원이 이를 기각했다. 그는 “비자금 조성을 지시하거나 묵인하지 않았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했고, 법원도 “범죄혐의 소명이 충분치 않다”고 판단했다.

검찰 수사는 포스코 본사 쪽으로 비화됐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 재임시 포스코가 부실기업인 성진지오텍 지분을 시세보다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으로 인수해 이 회사 주식을 갖고 있던 이명박정부 실세 등에게 특혜를 주었다는 의혹을 파헤치기 시작했고, 전정도 전 성진지오텍 회장을 구속했으며, 이 회사 지분을 포스코에 매각하는 과정을 주관한 산업은행 송재용 전 부행장을 구속했다.

그리고 지난 3일에는 서울 포스코센터와 포항의 동양종합건설 사옥을 압수수색하자 “정준양 전 회장을 겨냥한 수사”란 말을 들었다.

그러나 포스코 수사는 연이어 난관을 만났다. 정동화 전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두번 연속 기각된 것이다. 법원은 영장실질심사를 한 뒤 “추가된 범죄 혐의의 소명 정도, 영장 1차 기각 이후 보완 수사 내용 및 심문결과 등을 종합하면 구속 사유와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며 기각 사유를 밝혔다. 검찰의 자존심에 흠집이 났고, 명예회복을 벼르게 됐다. 포스코건설의 토목본부의 국내외 건설현장에 이어 주택건설 과정에서의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수사가 번져갔고, 조경업체들로부터 각각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임원 3명이 구속됐거나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포스코 수사가 벌써 5개월째로 접어들었다. 청년일자리 창출과 기업투자 촉진과 창조경제 확산이 박근혜정부는 최대 국정과제가 돼 있는 지금이고, 세계 철강경기 침체 속에서 악전고투하는 포스코 등 철강업계의 애환이 겹친 상황에서 포스코 수사 장기화에 대한 여론은 결코 좋지 않다. 두 차례에 걸친 구속영장 기각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김인호 무역협회장도 “의심했던 부분이 없으면 나와야지, 한번 들어가면 다른 걸 뒤져서라도 꼭 결과를 봐야겠다는 수사관행은 이제 그만둬야 한다”고 꼬집었다. “장기간 여기저기 찌르고 잘라보고 해서야 환자가 살아남겠는가”란 말도 나온다.

정권이 바뀔때 마다 포스코는 수사대상이 됐었는데, 이것은 자칫 정치보복처럼 보일 수 있다. 검찰은 수사 장기화에 대해 “국민기업 포스코의 정상화가 우선”이라 했지만, 과거의 포스코 수사에서 이렇다 할 결과가 나온 적이 별로 없었다. 검찰도 경제살리기에 동참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