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도심 집창촌 어떻게 하나
市 예산부족 핑계로 뒷짐, 재개발사업서 빠져
“도심 성매매업소 둔 채 `클린도시 건설` 모순”
강력단속·부지매입 병행 자진폐업 유도해야

▲ 포항역 인근의 성매매 집결지 입구. 골목길 바닥의 `청소년 통행금지구역`이라는 경고문구 외에는 성매매업소들이 그대로 노출돼 있다.

정부의 `성매매 집결지(집창촌) 폐쇄 방침`에 따라 전국 지자체들이 지역의 골칫거리인 집창촌에 대한 대대적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반면 포항시는 속칭 `중앙대학` 인근의 옛 포항역 복합개발이 추진되는 등 재개발의 호기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상) 적극론·신중론 속 존폐 기로
(중) 성매매 여성 자활에도 관심을
(하) 이강덕 시장 체제, 폐쇄 `호기`

시는 지난 15일 철도시설공단, 코레일과 함께 옛 포항역사 개발과 관련한 실무협의체를 구성키로 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 사업은 정부의 행복주택, 문화광장 등을 포함해 구도심 재생사업에 일대 전기가 예상된다.

하지만 복합개발부지에 맞닿은 집창촌이 제외된 사실이 알려지자 일각에서는 `탁상행정`이라는 지적이 높다.

포항중앙상가상인회 한 관계자는 “예산이 부족하다는 구태의연한 변명으로 뒷짐을 지는 시를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집창촌 바로 옆의 주택이나 공원 신설 계획은 말이 안된다. 집창촌 정비 계획이 선행돼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동안 포항시 핵심상권인 중앙상가 인근의 집창촌은 전체 도시 이미지 등 도심환경을 실추시킨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아왔다.

더구나 경찰 수뇌부 출신 이강덕 시장의 `4+1 창조도시 클린포항` 기조와 도심 한복판 집창촌은 너무나 모순이라는 의견이다.

충북 청주와 강원 춘천 등 지자체들의 사례는 대조적이다.

청주시는 성매매특별법 시행 후 사그라지던 집창촌 분위기가 다시 활발해지자 지난 2010년 맞닿은 부지에 청소년광장을 조성했다. 시행 초기에는 언론의 질타와 비판 여론이 많았다. 하지만 광장이 활기를 띄면서 집창촌이 위축되는 상쇄효과를 거뒀다.

이후 2011년 국토교통부의 공모사업에 집창촌 정비를 포함한 `옛 역사 복원`이 선정돼 2013년 한 해 3천300여㎡의 토지를 매입해 일부 성매매업소를 철거하는 데 성공했다.

생존권과 기득권을 주장하며 영업을 이어가던 7곳에 대해서는 지난해 3월 경찰, 충북여성인권상담소 늘봄 등과 민·관 협력특별팀을 구성해 계도와 단속을 병행했다. 또 5월부터 성매매 영업을 알고도 전·월세 계약을 맺은 건물주까지 단속하는 초강수로 자진 폐업을 유도했다.

권순택 청주 중앙동 도시재생추진협의회 위원장은 22일 본지 통화에서 “집창촌을 정비하려면 지자체와 경찰, 시민단체 등의 꾸준한 민관 협력체 가동이 필요하다”면서 “무엇보다 나약한 성매매종사자 단속 보다는 건물주나 업주에 대한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국 최초로 조례를 제정해 성매매여성들의 자활을 지원한 춘천시는 업주와 성매매여성들이 `자진폐쇄`를 결정하는 놀랍고도 유례없는 성과를 낳기도 했다.

2013년 3월부터 성매매여성들의 자활에 힘쓰고, 부지 매입에 나선 춘천시는 업주들의 반발로 다소 갈등이 있었지만, 그해 8월 업주에게 600만원씩 주거 이전비를 보상하는 등 물질적 지원으로 충돌없이 평화적 폐쇄를 마무리했다.

이에 대해 ㈔포항지역사회연구소 이재섭 이사장은 “도심에 집창촌이 위치한 포항은 지금 포항역 이전과 복합 개발에다 경찰 수뇌부 출신 시장의 취임으로 폐쇄의 호기를 맞고 있는 만큼 지역의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찬규기자 ack@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