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기획취재 시리즈
포항 `한국의 아들러스호프` 꿈꾼다

▲ `대한민국 과학기술 1번지`로 불리는 대덕연구개발특구는 정부가 2005년 7월 특별법을 공포하면서 일대 67.8㎢를 특구로 지정해 개발이 더욱 가속화 됐다. 사진은 대덕특구 전경.


■ 글 싣는 순서

① 포항의 과학 인프라 활용 가능성
② 포항시와 지역 연구기관 협조 실태
③ 대덕연구단지의 성공사례
④ 대전시·대덕연구단지 상생 비결
⑤ 세계최고 연구단지 獨 아들러스호프
⑥ 아들러스호프, 세계과학 비전 제시하다
⑦ 포항 `한국의 아들러스호프` 가능한가
⑧ 포항 과학의 문제점과 향후 방향

2005년 특별법 공포 개발 가속화… 연매출 16조원 `훌쩍`
진흥재단 설립·특구펀드 운용 연구성과 사업화 가교역할
2011년 한해 연구개발비 2천400억원 투입 `포항의 30배`

□ 대덕특구 연 매출액 16조원

`대한민국 과학기술 1번지`로 불리는 대덕연구개발특구(옛 대덕연구단지)는 정부가 1973년 11월 30일 충남 대덕군 일대를 대덕연구학원도시로 지정·고시하면서 첫발을 내디뎠다.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은 `과학기술의 발전이 경제성장의 원동력`이라는 철학에 따라 중화학공업의 급격한 발전으로 급증하는 기술수요를 뒷받침하기 위해 서울에 산재한 국·공립연구기관을 이전·집결시켜 연구기능을 극대화하자는 취지로 이곳에 연구단지를 세웠다.

이후 1978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제1호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들어서면서 연구단지로서의 모습을 서서히 갖추기 시작한 대덕특구는 △인프라 조성기(1973~1977년) △연구기반 확충기(1978~1992년) △혁신 창출기(1993~1998년) △혁신클러스터 형성기 및 도약기(1999~2009년) 등을 거쳐 2010년부터 현재까지 `글로벌사업화를 선도하는 세계 초일류 혁신클러스터`라는 명목아래 창조적 혁신기를 맞고 있다.

특히 정부가 2005년 7월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공포하면서 대덕연구단지라는 명칭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변경하고, 일대 67.8㎢를 특구로 지정해 개발이 더욱 가속화 됐다.

이와 함께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출범해 특구 내 산·학·연의 우수한 연구성과를 사업화하는 가교역할을 맡게 됐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 따르면 특구지정 당시인 2005년 742곳에 불과하던 입주기관은 7년 만인 2012년 기준 정부출연 30곳, 국공립기관 14곳, 대학 5곳, 기업체 1천312곳 등 1천401곳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아울러 연간 기술이전은 98.8%(611건→ 1천210건), 코스닥 등록기업은 181%(11곳→ 31곳), 연간 매출액은 551%(2조5천억원→ 16조6천억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1천250억원 규모 특구펀드 조성

지난해 40주년을 맞은 대덕연구특구의 성공에는 지난 2005년 9월 1일 대덕특구지원본부라는 명칭으로 출범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1979년 당시 과학기술처 소속 행정조직인 대덕단지관리소를 모태로 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2012년 7월 현재 명칭으로 재출범해 대덕특구의 연구개발과 사업화 촉진을 위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특히 창조경제의 기반이 되는 공공기술의 연구성과 사업화 지원을 위해 대학 및 정부출연연의 우수한 기술이 기업에 이전하는 작업에 주력한 결과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5년간 우수기술 4천109건, 수요기업 6천895곳을 발굴해 기술이전금액 718억원을 달성했다.

또한 연구소에서 개발한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는 연구소기업을 46곳을 설립, 지난 한 해 동안 1천637억원의 매출액과 639명의 고용유발효과를 보였다.

아울러 창의적 아이디어를 지원하는 벤처생태계 조성사업에도 주력해 연구소에 근무하는 인력이 기발한 창업아이템으로 창업을 원할 경우 이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연구개발특구 일자리창출투자펀드를 운용하며 첫해 500억원, 지난해 1천억원 규모의 창업자금을 위한 펀드를 구성했으며 올해는 1천250억원으로 증액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이같은 성과를 토대로 기술창업과 일자리창출로 이어지는 창조경제 성과를 구현한다는 목표아래 새로운 도약을 꿈꾸고 있다.

먼저 민간사업역량과 공공연구역량이 결합된 합작투자형 연구소기업 설립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연구소기업에 대한 사업기획을 돕고, 기업에는 후보기술을 상시적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관계자는 “과거에는 기관에서 얻은 연구성과가 기업에 공급돼 상용화되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며 “오늘날 대덕특구는 기술이전사업에 주력하면서 연구기관에는 기술이전금을, 기업에는 새로운 사업아이템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 대덕의 성공비결 연구개발특구 지정

이처럼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아래 설립된 대덕연구개발특구는 포스코라는 굴지의 기업이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포스텍을 설립하고, 주변에 각종 연구기관을 세운 포항지역 연구단지와 태생적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그러나 설립 이후에도 꾸준한 관심과 투자로 현재까지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대덕특구의 모습은 지자체의 재정적 한계와 국가규모 사업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포항과는 사뭇 다르다.

이같은 현상은 투자규모와 인프라에서도 여실히 나타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에 따르면 2011년 한 해 동안 대덕특구에 투입된 연구개발비는 6조8천173억원으로 같은 기간 포항지역 연구기관에 투입된 2천422억원의 30.4배에 달했다. 연구기관은 포항 75곳과 대덕 1천399곳, 석·박사급 연구인력은 각 4천451명, 2만7천423명으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이렇듯 수치상으로 드러난 격차는 포항지역에 크나큰 상대적 박탈감을 안기고 있다.

단순 비교에도 포항이 대전에 비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데는 앞서 언급했듯 연구개발특구 육성을 정부가 특별법으로 제정해 전방위적인 지원사격을 하고 있는 점이 주요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된 지역은 도로·용수와 같은 기반시설을 국가가 지원하고, 대부분의 사업에 막대한 정부 예산이 투입된다.

또한 특구 내 개발사업은 인허가 절차가 대폭 간소화되고, 개발제한구역의 해제도 용이해지며 신기술 개발에 필요한 연구개발비 등 자금지원과 세금감면 등 각종 특혜가 주어진다.

실제 대덕연구단지가 1호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된 이후 6년여가 지난 2011년과 2012년 각각 2·3·4호 특구유치를 성공한 광주, 대구, 부산연구개발특구는 최근 들어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포항과 경주 일대를 묶은 동해안연구개발특구 조성사업은 포항시가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최근 연구개발특구 유치에 대한 각 지자체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쟁이 과열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동해안연구개발특구를 포함해 전주, 정읍, 완주 등에 걸친 전북연구개발특구, 판교밸리를 중심으로 한 경기연구개발특구, 창원, 김해의 경남연구개발특구 등이 지자체 차원에서 특구 지정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대덕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한 관계자는 “국가적 지원이 이뤄진 대덕연구단지가 성공을 거둔 이후 여러 지자체에서 연구개발특구 유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이같은 현상은 자칫 업무 중복이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어 지역과 연구기관의 특성을 면밀히 고려한 선택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입니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