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0일 주택거래 활성화 방안을 내놓았다. 꽁꽁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을 살려보려는 취지다. 주요 내용을 보면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가 9년 만에 투기지역과 거래신고지역에서 해제된다. 1가구 1주택자의 양도세 비과세 요건은 3년 이상 보유에서 2년 이상으로 완화된다. 일시적 2주택자의 경우 주택 처분 기한이 2년에서 3년으로 늘어난다.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도 축소된다고 한다.

무엇보다 강남 3구의 투기지역 해제가 눈에 띈다. 강남 3구는 항상 `투기의 진원지`로 주목받아 왔다. 강남에 대한 철통 규제의 마지막 빗장을 푼 것은 언제 투기가 재발할지 모른다는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다. 그만큼 시장 상황이 절박하다는 판단일 것이다. 강남 3구가 투기지역에서 해제되면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상한이 40%에서 50%로 높아져 지금보다 더 많은 대출을 받을 수 있다. 강남에 온기를 불어넣어 `겨울잠`에 빠진 부동산시장을 깨워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시장에서 기대했던 DTI 규제완화와 취득세 감면 등이 제외돼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정부는 지난해에도 6차례에 걸쳐 부동산 활성화 대책을 쏟아냈다. 거의 두 달에 한 번꼴이다. 그런데도 `약발`이 먹히지 않았다. 작년 12월 강남 3구를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했을 때도 기대가 컸지만 `반짝` 상승에 그쳤다. 이후 주택 거래는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올 1분기 아파트 거래는 작년 동기보다 무려 36%나 급감했다고 한다. 보유주택을 팔고 싶어도 사려는 사람이 없다. 그러다보니 대출이자 부담때문에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하우스 푸어`가 양산되고 있다.

부동산 중개, 이사, 인테리어 등 연관산업도 죽어가고 있다. 이 때문에 DTI 규제를 완화해서라도 부동산 거래를 살려달라는 요구가 줄기차게 나오고 있다. 하지만 1천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가 걸림돌이다. 더 이상 빚을 내 집을 사도록 정책을 쓰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DTI 규제를 푸는 것은 `부채 폭탄`의 뇌관을 건드리는 일이다. 취득세 감면도 재정난을 겪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반대로 성사되지 못했다. 이번 대책을 알맹이가 빠진 반쪽짜리 수습책으로 보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