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봄, 아카데미상 소식이 들리면 괜한 기대로 설렌다. ‘기생충’, ‘미나리’ 이전부터도 그랬다. 매달, 매주, 이달의 영화, 혹은 오늘의 개봉영화를 찾곤 하지만 특히 아카데미상 즈음이 되면 영화 관련 뉴스를 더 자주 검색하게 된다. 올해는 이런저런 바쁜 일로 아카데미 시상식을 놓쳤다가 며칠 지나 검색했다. 마침 올해 아카데미 수상작 중 상영하는 영화가 있었다. 바로 예매하고 극장엘 달려갔다. 관객이 많지 않은 극장에서 혼자서 두 시간이나 숨죽이며 ‘콘클라베’를 봤다. 최근 본 영화 중에 그렇게나 집중했던 영화가 있었던가 싶다.
콘클라베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을 선출하는 선거 제도이며, 교황이 선출되지 않으면 검은 연기, 선출이 확정되면 흰 연기로 알린다는 정도의 상식은 있었기에 다큐멘터리 비슷한 역사물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러나 이 영화가 미스터리, 스릴러물로 분류되어 의아했는데 과연 그랬다. 교황으로 선출되기 위해 온갖 정치적 음모가 판치고 그 와중에 드러나는 추기경들의 비리가 난무했다. 화려한 성당에서 아름답기까지 한 복장으로 가려진 다양한 추악한 캐릭터들의 면모를 들여다보는 건 몹시 불편했다. 거기도 세속과 다를 바 없다는 메시지, 그리고 변화해야 가톨릭의 미래를 암시하는 결말이었음에도 세계적으로 추앙받는 교황과 로마가톨릭의 추한 면모를 훔쳐본 듯해서 개운치 않았다.
집으로 돌아와 나만의 영화 감상법이 시작되었다. 마치 연관 검색하듯 내가 영화로 알게 되었거나 알고 싶은 정보를 찾고 확인하고 또 다른 영화를 보는 방식이다. 먼저, 영화 ‘두 교황’을 찾았다. 원래 보고 싶었으나 개봉관이 많지 않아 놓쳤고, 넷플릭스에 가입해야만 가능해서 아쉬우나 꾹 참고 있었다. 다른 OTT에서는 볼 수 없을까 이따금 검색만 하거나 유튜브에서 소개하는 짧은 영상을 보면서 보고싶은 마음을 달래곤 했다. 결국 이번에 넷플릭스에 가입하여 기어이 봤다. 훌륭한 두 배우가 주인공인 두 교황, 베네딕토 16세와 프란치스코 교황과 외모적으로 매우 흡사해서 화제를 모았던 영화였다.
또 있었다. ‘우리에겐 교황이 있다’는 ‘콘클라베’와 같은 상황이나 내용은 정반대로 코미디 드라마로 분류된 영화였다. 이 역시 티빙에 가입하고 나서야 볼 수 있었지만 가입을 잘했다 싶을 정도로 ‘콘클라베’의 찜찜함을 달래주었다. 교황이 되기 위한 정쟁을 벌이는 영화 ‘콘클라베’의 추기경들과는 정반대로 이 영화에서는 모든 추기경들이 교황으로 선출되기를 거부한다. 그 중에서도 떠밀리듯 교황으로 선출된 주인공은 두려움을 못 이겨 교황청을 나와 인간들의 세상으로 도망쳤다. 다시 돌아와서 한 그의 첫 연설은 교황 사임이었다. 교황의 무게를 고뇌하는 추기경들의 모습이 뭉클했다.
이번에 본 영화가 모두 현 교황과 관련한 것이기에 내겐 더욱 특별하다. 현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4년 여름 우리나라를 방문하셨고, 바로 그때 첫 손녀 윤이 태어났다. 손녀 출산 소식에 부랴부랴 도착한 서울엔 광복절의 태극기와 교황 방한 현수막이 함께 나부껴 찬란하고 눈부셨다. 우리 부부는 첫 손녀의 탄생을 축복하러 교황님까지 오신 거라며 맘대로 생각하며 감격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