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주 SMR 제작지원센터 건립원전 ‘소부장’ 산업생태계 구축

황성호 기자
등록일 2023-07-09 20:01 게재일 2023-07-10 1면
스크랩버튼
경북도·경주시·한국재료연구원 <br/>‘원자력 3.0’ 향해 업무협약 체결<br/>李지사 “우리 기술로 만든 SMR <br/>세계시장으로 팔려나가게 될 것”

정부가 탄소중립시대 미래에너지원으로 떠오르는 소형모듈원전(SMR)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근 원전관련 민간기업과 합동협의체인 ‘SMR 얼라이언스’를 출범시킨 가운데 경북도와 경주시도 차세대 지역 성장동력인 경주 SMR국가산업단지(지난 3월 지정)를 SMR 연구개발과 원전산업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경북도와 경주시는 지난 7일 한국재료연구원과 손잡고 경주 국가산단 내 SMR 제작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혁신제조기술을 활용한 SMR 제작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제작기술 표준화를 위한 SMR 혁신기술 인증센터 및 테스트베드를 단계적으로 구축하는 등 SMR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생태계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다.


양기관은 이날 도청에서 한국재료연구원과 SMR 소부장 산업생태계의 성공적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는 원자력 소부장 관련 국내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글로벌 종합 소재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이 참여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3개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소형모듈원자로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 △소형모듈원자로 제작지원을 위한 기반구축 △소형모듈원자로 공인 인증체계 개발 및 테스트베드 구축 △전문인력 양성 △한국재료연구원 경북센터 설립 등 SMR 소부장 산업거점 마련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회 SMR은 특수 극한상황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 재료와 3D 프리팅 신제작 기술이 필요함에 따라 이 분야 최고의 원천기술을 지닌 연구기관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이미 경북도는 SMR 연구개발과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해 국내 독자 모델인 혁신형 SMR 등 차세대 원자로 핵심기술 개발을 담당할 문무대왕과학연구소를 경주 감포에 유치했고,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조성공사가 한창이다.


또 지난 3월 정부의 지역 첨단산업 거점 마련을 위한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에 경주 SMR 국가산단이 최종 선정됐으며, 한국토지주택공사를 개발사업자로 선정하고 연내 예비타당성조사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12대 국가전략기술에도 포함된 SMR은 전 세계 71종이 개발 중이며, 발전과정에 탄소배출이 없고 안전성이 대폭 강화돼 탄소중립시대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향후 2035년 기준 세계시장 규모는 62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가올 SMR 시장선점을 위해서는 SMR의 경제성 확보가 관건이고, 복잡한 내부 기자재 구조와 모듈화 된 설계 등 제작 특성을 감안할 때 로봇용접, 3D프린팅 등 혁신제조기술을 적기에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향후 문무대왕과학연구소에서 우리 기술로 개발될 SMR이 경주 국가산단에서 만들어져 세계시장으로 팔려나갈 것”이라며, “SMR 소부장 산업생태계 구축으로 경북 원자력 3.0시대를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첨단소재 원천기술 개발에 있어 세계 최고의 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과 SMR 소부장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향후 SMR 혁신제조기술센터가 설립되게 되면 국가산단 입주기업들의 기술개발을 지원해 차세대 원전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주시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국가산업단지 시업시행자로 지난 4월말 LH를 선정했다.


/황성호·이창훈기자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