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사꽃은 그리움 끝에 핀다’
자평집 성격 앤솔로지 눈길

김락기 시조시인

의성 출신의 산강 김락기 시조시인이 최근 창작시조집 ‘복사꽃은 그리움끝에 핀다’(넥센미디어)를 출간했다. 김 시인의 시조집으로서는 6번째이지만 자유시집, 칼럼집 등을 포함하면 11권째다. 김 시인의 창작활동은 시조가 대종을 이루지만 가끔 문인화나 크레파스화를 그리면서 시·서·화를 넘나드는 딜레탕트(dilettante·호사가) 예술인으로 자처하기에 내용이 자유분방하고 색다르다.

김 시인은 지난 2014년 사단법인 한국시조문학진흥회 이사장을 맡을 때부터 시조의 범국민문화와 세계화에 힘써왔다.

임선묵 전 단국대 국문학과 교수는 김 시인 시조의 ‘문체’에 대해 “흔하면서 대접 받지 못하는 소재, 그러한 소재에 얽힌 서민의 소박하고 진솔한 삶, 이들 조건에 맞는 투박한 언어의 선택과 배열, 소재에 얽힌 작가의 체험적 생각, 특유한 표현의 솜씨 등등 이러한 의미 전달의 정황에 개입한 작가의 개성이 결합하여 이룩한 문체”라면서 “시조의 오랜 관습적 문체로부터의 탈출을 감행한 것으로 참으로 대단한 문체의 탄생”이라고 했다.

이 책은 산강의 자평집 성격의 앤솔로지이다. 여기서 저자는 자신의 창작 시조를 ‘산강 시조’라 명명하고, ‘시조다운 시조는 정형률을 지키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김락기 시인은 의성 도리원 인근의 한적한 시골마을 덕은동에서 태어났다. ‘도리원(桃李院)’은 이름 그대로 복사꽃과 오얏꽃이 피는 고을이어선지, 이 앤솔로지 표제 ‘복사꽃은 그리움 끝에 핀다’로까지 연이 닿는다.

그는 그곳에서 중학교까지 다닌 후, 대구에서 고교시절을 보낸 후 서울 상계동 수락산 자락에 터를 잡고서, 줄곧 불암산·도봉산·북한산들을 바라보며 눌러 살고 있다.

김 시인의 필명은 산강(山堈)으로 산언덕(산기슭)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 그는 문청시절 봉산문학회 동인으로 문학에 발을 디디고, 제7회 단대신문 학술·문학상에 시조로 당선된 후, 계간 ‘시조문학’과 월간 ‘문학세계’를 통해 시조와 시 부분에 나왔다.

연작시조 ‘바다의 심층심리학’으로 시조문학 창간 50주년 기념작품상을, 시조집 ‘삼라만상’으로 제4회 세계문학상을, 자유시집 ‘고착의 자유이동’으로 제9회 문학세계문학상을, 연시조 ‘무시래기를 삶으면서’로 제6회 역동시조문학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