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ay 관찰을 통해 금속유물을 접합하고 있다.

금속은 청동기시대·철기시대처럼 역사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언급될 만큼 고대부터 친숙하게 사용된 재료이다. 출토되는 금속유물들은 주로 금·은·동·철·납·주석 등의 재료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만든 장식품이나 무기, 생활도구들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고대인들이 만들어 사용한 이러한 물건들은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되어 유물이 되고, 관련 역사학자들이 이를 연구함으로써 당시의 금속 제작 기술 수준이나 문화의 발전 등을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경주를 예로 들어보면, 신라가 천년 동안 유지되면서 생산한 다양한 문화 유적지들이 즐비한 곳으로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되는 금속유물의 수량 역시도 매우 많고, 다양하다. 이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다. 경주에서는 사람이 생활하던 주거지부터 죽은 자의 무덤, 각종 건물이나 사찰 등 유적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금속유물들이 출토된다.

각종 생활도구들 중에는 지금도 사용되는 솥이나 망치와 모양이 크게 다르지 않는 것도 있지만 의례행위 도구나 무기, 장식품들 중에는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궁금증을 유발하는 유물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유물의 모양을 되찾아주어야 하는데, 알다시피 금속은 흔히 ‘녹이 슨다.’라고 하듯이 쉽게 부식되고, 깨지거나 변형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금속유물은 출토되는 수량은 많지만 온전한 모습이 거의 드물기 때문에 이러한 금속유물들을 연구하기 위해서 반드시 보존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이건 일종의 선결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출토되는 금속유물을 보존처리하는 과정은 크게 보면 ‘기록-처리-기록’의 과정을 거친다. 보존처리 과정 전반에 걸쳐 유물을 가까이 놓고 관찰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최대한 기록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록들은 발굴보고서에 반영되고, 전시나 교육, 관련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된다.

보존처리 기록에는 보존처리 전과 후의 유물 사진, x-ray 촬영을 통한 보이지 않는 균열과 문양들, 분석 장비를 이용한 유물의 성분분석 결과, 유물의 무게나 크기의 변화, 보존처리에 사용한 약품의 종류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면 발굴현장에서 출토되는 비슷한 모양이나 상태의 유물을 보존처리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또한 관련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유물을 관리하는 담당자들에게도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는데, 수장고에 보관하면서 금속유물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금속유물을 보존하고 처리하는데는 조심스러운 여러 가지 과정이 필요하다.

금속유물을 보존처리 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고대 사회의 기술 수준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과거 인류가 어떤 방식으로 변화와 발전의 과정을 걸어왔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이기도 할 것이다. 금속유물의 보존처리는 단순히 녹이 슨 부분을 제거하고, 지저분한 곳을 닦아주며, 깨진 부위를 붙이거나 복원해주는 것만이 아니다. 단순한 기술적 보존처리에 그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유물의 크기나 상태에 따라 처리기간은 다르지만 짧게는 한 달에서 길게는 1년 이상을 계속해서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며, 실체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통해 유물을 관찰하다보면 과거의 조상들이 이 유물을 어떻게 만들었고, 어떠한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얼마나 정교한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런 과정을 통해 역사는 복원되고 연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고대 사회의 제철기술, 장식기술과 같은 금속 가공기술부터 금·은·동·철·청동 등의 재료 특성과 같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이렇게 확보된 정보들은 고고학, 미술사, 공예사 등의 관련 학문에서 더 다듬어져서 고대사회의 모습을 유추하는데 활용된다. 고대 금속유물의 연구 과정은 이처럼 체계적이고 정밀하게 진행된다.

심명보학예연구사
심명보
학예연구사

지금은 금속을 생산하고 제품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너무나도 익숙하고 편리하며, 더욱 정밀한 물건도 많기 때문에 박물관이나 책에서 보는 낡고 보잘 것 없는 녹슨 철기 유물 한 점을 대단하게 생각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고대 사회에서 금속제품은 부의 상징과도 같았다. 그들이 사용했던 화려하면서 섬세하고, 강인하면서도 실용적인 금속제품은 긴 시간이 지나 다소 빛을 바래서 우리 앞에 유물로 나타났지만 그 가치는 여전히 빛나야 하는 소중한 것임을 정확하게 인식해야 한다.

우리 역사의 찬란했던 과거 흔적을 찾아 가고 조상들의 금속공예, 더 나아가 당시의 생활문화가 재조명 받을 수 있도록 연구하고, 공유하는 것이 보존처리의 역할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