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토론회는 낙동강 수계의 전반적인 상황을 살피고 구미 해평 정수장의 공동이용을 위해 정부와 대구시의 합리적인 방안 제시과정을 설명하고자 추진됐다.
토론회는 정세균, 이낙연, 박용진 민주당 대선 경선후보 3인이 대구 취수원 이전 관련한 입장과 정책을 영상메시지를 통해 전달했다.
정 후보는 “30년간 풀지 못한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 하루속히 해결되어야 한다. 갈등의 낡은 문을 닫고 공존의 새로운 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후보는 “총리 시절 대구 취수원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 지자체와 긴 시간 동안 논의해 양해각서를 체결했고 이후 구체적 합의에 이르게 됐다”며 “낙동강 물 문제 해결은 이웃 지자체 사이의 상생을 위한 타협이자 환경오염 앞에서 국민의 삶을 지켜주는 모두의 결단”이라고 언급했다.
박 후보는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에 대해 시민 여러분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누구도 피해보지 않도록 논의결정에 주의 깊게 살피고 청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토론회에서 영상메시지를 전달하지 않았다.
이날 토론회에 주요 내용은 30년 동안 지지부진했던 대구 물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대구·구미 상생을 통한 취수원 다변화 방안이 최선의 해결책이라는데 의견을 모았다.
또, 이번이 취수원 다변화의 마지막 기회로 이를 위해 대구·구미시민에게 취수원 다변화에 관한 정확한 사실들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의 절실한 홍보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내렸다.
김대진 대구시당위원장은 “30년 동안 난제였던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엇보다 시민들의 관심 환기와 정부, 지자체가 추진하는 취수원 이전에 따른 정책효과를 대구와 구미 시민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홍보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