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인구 집중이 큰 원인
지방 대도시·중소도시 연계
광역네트워크 도시 구축 필요
지역 유입 유도보다
유입된 청년 지원 선행돼야
청·장년 세대 단절 현실 수용
고령 농어민 맞춤형 사회 추진
각계 전문가들 다양한 제안

인구 소멸 위기에 직면한 경상북도가 지역 소멸 해법을 찾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현재 경북은 23개 시·군 중 78%인 18곳이 인구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 상태다. 전국 광역 지자체 중 인구 소멸 위험지역이 가장 많다.

지난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양기대 의원이 한국고용정보원의 인구소멸지수를 인용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경북의 인구소멸위험지역 18곳 중 군위군(소멸위험지수 0.133), 의성군(0.135), 청송군(0.155), 영양군(0.158), 영덕군(0.17), 청도군(0.162), 봉화군(0.159) 등 7곳은 고위험지역으로 나타났다.

또 경주시(0.43), 김천시(0.433), 안동시(0.391), 영주시(0.295), 영천시 0.303), 상주시(0.236), 문경시(0.255), 고령군(0.225), 성주군(0.221), 예천군(0.278), 울진군(0.286) 등 11곳은 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소멸위험지수는 20~3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지수가 0.5 이하이면 인구소멸위험지역으로 간주되며, 지수가 낮을수록 위험도가 더 높다.

이와 관련, 경북도는 지역소멸 해법을 찾기 위한 ‘2020 경상북도 인구정책 대토론회’를 영주 148아트스퀘어에서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인구감소 및 지역 공간의 변화전망과 인구정책 및 지역 정책 방향’을 주제로 열린 이날 토론회는 인구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토론은 장욱현 영주시장과 임무석 경북도의회 지방소멸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 이원경 경북도 아이여성행복국장, 관련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한 가운데 현장과 유튜브 온라인 생중계를 병행했다.

우선 주제발표에 나선 민성희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출산·고령화는 인구감소와 인구구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며 “수도권 인구집중이 지방 인구비중을 감소시키고 있고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지방 대도시와 중소도시 및 주변지역을 연계한 광역네트워크 도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규식 경북전문대 부교수는 “지역의 미래를 위해 삶의 질 개선, 일자리, 정주환경 개선 등 미래세대를 고려한 정책을 추진할 것”을 주장하고, “청년의 지역유입 유도보다 유입 청년에 대한 지원과 정착 안정화를 위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고령 농어민을 위한 맞춤형 정책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지훈 대구경북연구원 전문위원은 “지방소멸위험지수 분석을 통해 소멸위기 지역은 청·장년 세대의 단절현상을 보이는 농촌의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고령 농어민 맞춤형 사회 안전망체계 구축과 휴양·레저·거주를 위한 농촌 공간개조사업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혜민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연구위원은 “소멸 고위험지역이 문화·일자리·교육·보건 등 모든 생활기반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며 소멸 고위험지역 중심으로 삶의 질 개선을 통한 정주 여건 강화 프로젝트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북도 이원경 아이여성행복국장은 “청년세대 유출이 지역사회를 고령화 사회로 만들고 저출생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현실”이라며, “이번 대토론회에서 발표된 좋은 정책제언들을 경북도 인구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추진함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활력 넘치는 경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손병현기자why@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