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5 지진 2년 전인 2015년에
52만5천여명 정점 찍고 감소세
철강산업 쇠퇴 시작 시점과 일치
현재 인구 당시보다 1만1천명↓
일자리 창출 외 다른 대안 없어
시 “인구정책 패러다임 전환”

‘지진 탓?’아니! 일자리 부족 탓!’

경북지역의 중핵도시인 포항인구의 증감은 철강산업 동향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이 지역으로 사람을 불러 모으는 원동력임을 입증하고 있는 셈이다. 지속적인 인구 유출과 빨라진 고령화로 활력을 잃은 포항경제를 살릴만한 해법이 양질의 일자리에 있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12일 포항시에 따르면 지난 10월말 기준 현재 포항인구 수는 51만3천여명으로 10년 전인 2009년 12월과 비슷한 수준이다. 2006년 인구집계가 시작된 이후 정점을 찍었던 2015년 11월 말 52만5천여명에 비하면 1만1천여명이나 줄었다. 지난 4년간 반등 없이 지속돼 인구감소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고 50만명선을 위협하고 있다. ‘도시계획 목표인구 70만명’은 꿈같은 얘기가 됐다.

인구 그래프는 성장동력 산업의 경기와 같은 방향으로 동행했음이 취재 결과 확인됐다. 지난 2015년을 기점으로 철강산업이 기울기 시작하면서 포항인구 그래프도 하향곡선을 탔다.

철강산업은 1970년대 이후 포항경제를 이끈 성장동력으로 평가받으며 지역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지만 세계 경기침체에 이어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 대량 유입 등으로 불황에 빠졌다. 한국은행 포항본부에 따르면 포항철강산단 전체 생산액은 2015년 13조7천680억원에서 2018년 13조7천420억원으로 0.1% 감소했다. 올해 지난 1월 생산액은 1조1천590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0.1% 상승했지만 2월에 -1.5%, 3월 -2.4%, 4월 -1.8%, 5월 -2.4%로 계속해서 줄었다. 철강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포항을 떠나는 인구도 늘기 시작했다. 그동안 2016년 포항지진 발생 이후 인구 유출이 본격화했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통계상 지진발생 이전부터 포항인구 감소가 시작된 것이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철강업계는 고수익 WTP(World Top Premium) 제품의 생산 비중을 늘리며 수익성 회복에 힘쓰고 있지만 최근 철광석 가격 상승이라는 악재까지 겹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포항시가 철강산업에 치우친 산업구조적 한계에서 벗어나 다변화를 추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문제는 앞으로도 포항인구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이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늘고 있는 반면 청년층이 빠른 속도로 도시를 빠져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2018년 1월 기준 포항시 만 20∼30세 인구는 12만7천여명으로 2015년(13만4천여명)보다 7천명 이상 적다.

전문가들은 일자리 없인 지역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인구가 줄고 기업 생산량이 감소하면 포항시가 다른 지역에 비해 경쟁력이 밀릴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청년 유출 등으로 인한 ‘인구재앙’을 막기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면서 높은 임금을 줄 수 있는 기업 유치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취업준비생 황모(27·북구 양덕동)씨는 “구직사이트만 봐도 포항에 소재한 기업의 채용공고가 다른 지역에 비해 적어 ‘포항엔 일할 곳이 없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퍼져 있다”며 “먹고 살만한 일자리가 없으니 가까운 대구나 부산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포항시는 ‘인구정책 패러다임 전환’ 카드를 꺼냈다. 기존의 출산장려 위주 정책에서 벗어나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방안 마련이 골자다. 시는 2020년 10월말까지 포항형 인구정책 종합계획 수립을 목표로 인구 유입에 따른 인센티브 지원 근거 마련 및 인구정책위원회 구성 등에 관한 내용이 담긴 기본 조례를 다음달 10일 공포할 예정이다. 12일에는 시청 대회의실에서 인구감소 극복을 위한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 ‘인구토크콘서트’를 개최하고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했다.

/김민정기자 mjkim@kbmaeil.com

저작권자 © 경북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